▲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지난 8월 윤석열 대통령은 야당 반대에도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임명을 강행했다. “일제시대 선조들 국적은 일본”이라는 발언에 인사청문회가 파행되는 등 여야 갈등은 극에 달했지만 김문수 후보자는 장관으로 취임했다.

경기도지사·국회의원을 역임해 행정과 입법 경험을 갖췄음에도 김문수 장관은 장관후보 지명 이후 내내 큰 반대에 부딪쳤다. 한때는 노동운동에 전념했지만 정치계 입문 후 여러 차례 당적을 바꾸며 자유통일당을 창당하는 등 극우 행보를 보였던 그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일명 ‘태극기 집회’에 참석하고 유튜브채널을 개설해 “불법파업에는 손해배상 폭탄이 특효약”이라는 말을 했다. 정리해고 위기에 놓인 쌍용자동차 파업 노동자에게 “자살특공대”라며 비난해 경기도지사 재임 당시 큰 비판을 받았던 그때와 달라진 것 없는 모습이었다. 김 장관은 우리나라를 식민지 삼았던 일제에 대해서도 꾸준히 옹호 발언을 해왔다. 세월호 참사 추모를 두고는 “죽음의 굿판”이라고 표현했다. 경제사회노동위원장으로 임명된 후에도 “문재인 전 대통령은 김일성주의자”라고 발언해 지탄받기도 했다. 노동자·여성·참사 희생자를 향한 그의 혐오발언은 반성도 사과도 없었다.

노동관과 역사관이 모두 왜곡된 김 장관은 최근 12·3 내란사태에 대해서도 국무위원 중 유일하게 사과하지 않고 있다. 도리어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할 정도의 어려움에 처했다”며 계엄을 합리화하는 발언을 했다. 그는 장관 임명 이후 200개 노조 사업장을 대상으로 근로시간면제(타임오프) 기획감독에 나서는 등 노조를 부패 집단으로 몰아가는 윤석열 대통령 행보를 답습했다. 김 장관 이후 제주 4·3단체를 비롯해 금속노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진보당 의원과 세월호 유족들은 사퇴 요구를 이어왔다. 노동·사회단체들의 김문수 장관 사퇴 요구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