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윤석열 대통령은 야당 반대에도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임명을 강행했다. “일제시대 선조들 국적은 일본”이라는 발언에 인사청문회가 파행되는 등 여야 갈등은 극에 달했지만 김문수 후보자는 장관으로 취임했다.
경기도지사·국회의원을 역임해 행정과 입법 경험을 갖췄음에도 김문수 장관은 장관후보 지명 이후 내내 큰 반대에 부딪쳤다. 한때는 노동운동에 전념했지만 정치계 입문 후 여러 차례 당적을 바꾸며 자유통일당을 창당하는 등 극우 행보를 보였던 그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일명 ‘태극기 집회’에 참석하고 유튜브채널을 개설해 “불법파업에는 손해배상 폭탄이 특효약”이라는 말을 했다. 정리해고 위기에 놓인 쌍용자동차 파업 노동자에게 “자살특공대”라며 비난해 경기도지사 재임 당시 큰 비판을 받았던 그때와 달라진 것 없는 모습이었다. 김 장관은 우리나라를 식민지 삼았던 일제에 대해서도 꾸준히 옹호 발언을 해왔다. 세월호 참사 추모를 두고는 “죽음의 굿판”이라고 표현했다. 경제사회노동위원장으로 임명된 후에도 “문재인 전 대통령은 김일성주의자”라고 발언해 지탄받기도 했다. 노동자·여성·참사 희생자를 향한 그의 혐오발언은 반성도 사과도 없었다.
노동관과 역사관이 모두 왜곡된 김 장관은 최근 12·3 내란사태에 대해서도 국무위원 중 유일하게 사과하지 않고 있다. 도리어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할 정도의 어려움에 처했다”며 계엄을 합리화하는 발언을 했다. 그는 장관 임명 이후 200개 노조 사업장을 대상으로 근로시간면제(타임오프) 기획감독에 나서는 등 노조를 부패 집단으로 몰아가는 윤석열 대통령 행보를 답습했다. 김 장관 이후 제주 4·3단체를 비롯해 금속노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진보당 의원과 세월호 유족들은 사퇴 요구를 이어왔다. 노동·사회단체들의 김문수 장관 사퇴 요구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2024년 노동연보
- 2024년 10대 노동뉴스 설문 참여자 100명
- [10대 뉴스 밖 노동뉴스] ‘쿠팡·한화오션·옵티칼’ 노동약자의 계속되는 외침
- [10대 노동뉴스 공동 9위] ‘의대 증원 반대’ 의료대란, 간호법 제정으로 이어져
- [10대 노동뉴스 공동 9위] “사회적 대화, 국회에서 하자”
- [10대 노동뉴스 공동 7위] 올해도 합계출산율 0.7명대 “저출생 근본 원인 못 짚어”
- [10대 노동뉴스 공동 7위] 22대 총선 민주당 승리, 입법·행정 대립 격화
- [10대 노동뉴스 5위] 내년 최저임금 1.7% 인상, ‘도급제 노동’ 적용 첫 논의
- [10대 뉴스 1위] 윤 대통령이 두 번이나 거부한 노조법 2·3조 개정안
- [10대 뉴스 4위] ‘정년연장’ vs ‘재고용’ 연금개혁안 발표 이어 정년연장 논의 본격화
- [노사정·전문가 100명에게 물었다] ‘말로만 노동약자 보호’ 국민 편 가르던 정권의 최후
- [10대 노동뉴스 3위] 돈만 밝히다 생명을 경시한 최악의 중대재해, 아리셀 참사
- [10대 노동뉴스 2위] 비상계엄 선포해 헌법 파괴한 검찰 대통령
- [2024년 올해의 인물] “김문수 장관이 윤석열 대통령을 이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