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 노총이 윤석열 대통령 구속취소를 규탄하고 내란세력 척결을 선언했다. 양대 노총 위원장은 8일부터 시민사회와 함께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단식에 돌입했다.
양대 노총은 10일 각각 기자회견과 시국선언을 발표하고 윤 대통령 파면까지 투쟁하겠다고 선언했다. 민주노총은 11일 서울 광화문 동십자각에서 ‘윤석열 석방 규탄, 헌재 파면 촉구’ 비상결의대회를 열고 12일까지 1박2일 대표자 농성투쟁을 전개한다. 2천명 이상 참여를 전망했다.
“웃으며 구치소 나선 윤석열, 참담 넘어 분노”
양경수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연 기자회견에 “민주노총이 앞장서 길을 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구치소를 웃으며 걸어 나오는 윤석열을 지켜보면서 노동자와 시민은 참담함을 넘어 분노를 느꼈다”며 “3개월간 나라를 혼란에 몰아넣고 사회를 파괴한 내란 수괴가 어찌 웃음을 짓고 거리를 활보하느냐”고 비판했다.
이어 “윤석열 석방을 위해 스스로의 관행도 부정하며 부역한 검찰독재의 나라임을 확인했다”며 “윤석열 파면의 비상한 결의를 담아 농성투쟁에 돌입하고 즉각 파면을 위해 전면 투쟁에 나선다”고 강조했다.
한국노총은 이날 오후 광화문 서십자각에서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한국노총은 특히 검찰을 강하게 비판했다. 시국선언문에서 한국노총은 “윤석열 석방 빌미를 제공한 것은 검찰”이라며 “마지막까지 즉시 기소하지 않고 검사장을 불러 시간을 끌어 법적 논란을 만들었고, 형사소송법내 구속취소 결정에 대한 즉시항고 권한이 존재함에도 스스로 포기했다”고 규탄했다. 한국노총은 “검찰이 내란 동조세력임을 자백했다”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의 내란죄가 면죄부를 받은 것이 아니라는 점도 강조했다. 한국노총은 “윤석열은 여전히 반민주, 반헌법의 내란수괴”라며 “총칼로 국민을 위협하고 헌정질서를 파괴하고 민주주의를 훼손한 죄가 줄거나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고 했다.
주중·주말집회 참여 호소 ‘비상행동’
양대 노총은 극우세력의 준동을 경계해 집회 주최나 참여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은 1박2일 농성집회에 이어 이미 예고했던 15일 전국노동자대회 조합원 참여를 더욱 독려한다. 헌법재판소가 전망대로 14일 탄핵심판 선고를 한다면 당초 계획대로 사회대개혁 촉구 메시지를 담은 집회로 진행할 계획이지만, 14일 이후로 선고일이 연기된다면 파면을 촉구하는 메시지에 집중할 전망이다. 현재 전국노동자대회 참여 예상인원은 1만5천명이지만 더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노총은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이 주최하는 같은날 집회에 적극 참여한다.
윤 대통령 구속취소에 따라 노동·시민사회단체는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노동·시민사회단체 1천700곳이 모인 비상행동은 9일부터 15일까지를 비상행동기간으로 우선 정하고, 이후에도 파면 선고 전까지 비상행동을 이어 간다. 대선을 향했던 정치권의 시선도 급격히 헌재로 향했다. 양대 노총이 사실상 총동원령을 내린 데 이어 더불어민주당도 매일 의총을 개최하기로 하는 등 태세를 정비했다.
이재·임세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