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윤석열 대통령 구속취소를 규탄하고 신속한 파면을 헌법재판소에 촉구하는 1박2일 농성투쟁을 11일 서울에서 진행한다.
민주노총은 10일 오후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계획을 밝혔다. 민주노총은 11일 서울 광화문 동십자각에서 ‘윤석열 석방 규탄, 헌재 파면 촉구’ 비상결의대회를 개최하고 12일까지 1박2일간 대표자 농성투쟁을 전개한다. 노조 위원장은 물론 분회·지회장을 포함한 간부들이 상경하고, 수도권에서는 상근간부까지 참여하는 방식이다. 민주노총은 약 2천명가량을 전망했다.
양경수 위원장은 “서울구치소를 웃으며 걸어 나오는 윤석열을 지켜보면서 노동자와 시민은 참담함을 넘어 분노를 느꼈다”며 “3개월간 나라를 혼란에 몰아넣고 사회를 파괴한 내란 수괴가 어찌 웃음을 짓고 거리를 활보하느냐”고 비판했다.
양 위원장은 “윤석열 석방을 위해 스스로의 관행도 부정하며 부역한 검찰독재의 나라임을 확인했다”며 “윤석열 파면의 비상한 결의를 담아 농성투쟁에 돌입하고 즉각 파면을 위해 전면 투쟁에 나선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노총이 앞장서 길을 열겠다”고 밝혔다.
산별노조들도 투쟁을 강조했다. 엄상진 금속노조 사무처장은 “내란세력의 완전한 청산 없이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 차별과 혐오가 없는 세상은 오지 않는다”며 “노조는 조합원 투쟁을 빠르게 형성하기 위해 역할을 다하고 윤석열 퇴진과 내란세력 청산, 노동중심 사회실현을 위해 지구력을 갖고 정권과 자본에 파상공세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은 헌재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14일께 하지 않으면 15일 윤석열 퇴진촉구 전국노동자대회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집계된 참여 인원은 1만5천명이지만, 헌재 선고가 지연되면 윤 대통령 구속취소 여파로 이보다 더 많은 수가 모일 여지가 크다. 양 위원장은 “15일 전국노동자대회는 대선 국면을 맞아 사회대개혁의 계기를 만들기 위한 목적이었으나 헌재 선고가 그전에 이뤄지지 않으면 훨씬 더 많은 조합원을 조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노총이 참여한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은 8일부터 대표자 단식을 시작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