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시 중원구 샤니공장 전경
▲경기 성남시 중원구 샤니공장 전경

화섬식품노조가 SPC그룹의 8시간 초과 야근 폐지와 함께 노후설비 교체, 장시간노동 해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에 국무총리 산하 검증위원회를 설치해 이행 상황을 점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30일 성명에서 “대통령이 SPC 중대재해 현장 간담회를 연 뒤 SPC는 야간 초과근로를 없앤다고 했지만 기대보다 걱정이 앞선다”며 “장시간노동을 해소하려면 저임금 해소 방안도 함께 제시해야 실효성이 담보되나 이에 대한 의지는 밝히지 않았다”고 짚었다.

노조는 “SPC 중대재해 근본 원인은 노후설비와 장시간노동”이라며 “간담회에서 SPC 회장은 대통령 추궁에 ‘순차적, 단계적, 서서히’로 답해 사안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한 모습을 보였고 뒤늦게 야간 초과근로 폐지를 선언했다”고 지적했다.

근무형태 개편도 강조했다. 노조는 “5월29일 더불어민주당이 주최한 긴급 간담회에서 SPC는 4조3교대를 언급했지만 이후 국회 제출 자료에는 시범운영만 남고 도입 게획은 없다”며 “오히려 3조2교대나 신2조2교대를 언급하며 여전히 2교대 운영에 집착했고, 2027년 말까지도 2교대 근무가 40% 수준을 유지해 걱정을 씻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불법파견 문제 해결을 위한 SPC의 사회적 합의 불이행도 비판했다. 노조는 “SPC는 2022년 노조와 사회적 합의 이행을 위한 임금 자료 제공을 합의했으나 3년이 지난 지금까지 자료 제공을 거부한다”며 “세간을 떠들썩하게 한 2017년 불법파견 해소 합의 사항인데도 8년째 지키지 않고 있는데, 이런 자본에 책임 있는 조치를 기대할 수 있을지 의문이 쌓인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이재명 대통령과의 간담회에 참석한 노조 대표자는 근로시간을 체크하지 못했다고 하는데 노조 대표자 발언으로는 믿기지 않는 대목”이라며 “SPC는 소수노조 파괴 혐의로 회장과 관리자가 1년 넘게 재판을 받고 있는데 이런 노조와 SPC가 혁신을 도모한다며 소수노조 참여는 철저히 배제했다”고 주장했다. 간담회 당시 노조 파리바게뜨지회는 간담회장에 들어가지 못하고 야외에서 피케팅 등을 했다.

노조는 SPC 산재사고 근절을 위해 정부의 관리·감독을 요구했다. 노조는 “국민적 신뢰회복과 진정한 혁신을 위해 자기들(SPC)끼리가 아닌 외부 인사로 구성한 국민검증위원회 같은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검증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며 “국무총리실 산하 인사가 참여하는 국민검증위를 설치해 정부당국의 보다 적극적 의지를 보여달라”고 호소했다.

키워드

#SPC #샤니 #허영인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