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국제노동기구(ILO), 고용노동부가 12월15~17일 사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청년, 지방정부, 그리고 일의 미래’를 주제로 ‘2025 국제노동페스타’를 개최한다. 플랫폼 산업과 AI 등장으로 노동의 형태가 바뀌고 단시간·비정규 일자리는 청년의 몫이 되고 있다. 국제노동페스타에서는 전 세계 청년들이 참석해 청년 일자리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직접 모색한다. <매일노동뉴스>가 국제노동페스타의 주요 내용과 의미를 짚어본다. <편집자>
국제노동페스타, 그 이름부터 생소하다. 경기도와 ILO가 지난해 6월 ‘청년고용 및 노동정책 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데 이어 올해 2월 국제노동페스타를 경기도에서 공동개최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경기도는 ‘청년, 지방정부, 그리고 일의 미래’에서 보이듯 청년을 위한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를 만들고, 이런 사업의 지역화를 추진하기 위해 ILO와 파트너십을 구축하면서 비공식·공식적 교류를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겠다는 포부다.
이는 현재 전 세계 청년이 처한 상황에서 출발한다. 기후위기, AI·디지털 산업전환 등 복합위기 앞에서 청년과 일의 미래는 더욱 불확실성에 놓이게 됐다. 경기도는 이는 중앙정부만의 일은 아니며, 지방정부의 역할 역시 중요하다고 본다.
홍성호 경기도 노동국장은 최근 본지 기고에서 “지방정부는 기업·학교·노동·시민·청년을 가장 가까이에서 만나는 주체”라며 “지방정부는 예산과 조례·행정·공간 등 정책수단을 가지고 있어 현장에서 실행·조정할 수 있는 힘이 있다”고 강조했다.
다른 한 축으로는 전 세계 청년들이 직접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ILO가 주관하는 글로벌청년고용포럼(GYEF: Global Youth Employment Forum)이 아시아 최초이자 지방정부 최초로 경기도에서 열린다는 의미가 있다.
청년고용포럼은 2012년 스위스 제네바 ILO본부, 2019년 나이지리아 아부자에 이어 올해 경기도에서 세 번째 열리는 것이다. 앞서 두 번의 포럼에서 청년실업률 증가와 기후위기·디지털 전환에서의 청년고용전략을 모색했다.
이번에는 청년과 지역과의 만남이라는 특징이 돋보인다. 국내 30명, 국외 70명으로 구성된 국제청년단 100명이 모여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진단하고, 청년의 시각에서 지속가능한 일자리 방안과 정책 제안을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한편으로는 ‘축제’로서의 의미도 있다. 국제노동‘페스타’라고 이름 지은 이유이기도 하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딱딱한 포럼을 넘어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축제’로 준비했다”며 “경기도 마스코트 ‘봉공이’키링 만들기, 타투 체험, ‘전태일 의자’ 포토존, 따뜻한 풀빵 나눔 등 다채로운 즐길 거리와 의미 있는 이벤트가 가득하다”고 소개했다.
경기도는 이번 행사에 노동부 장관, 경기도지사, 경기도의회 의장, 해외 지방정부 발표자, 해외 초청 청년, 양대 노총과 경영자단체 등 500여명이 참석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청년의 오늘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비추는 거울”이라며 “청년 일자리는 바로 지금,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