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경기도

경기도가 대학생 현장실습생들의 노동환경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책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마무리했다.

경기도는 “지난 4개월간 진행된 이번 연구는 임금·노동시간·작업환경 등 실습생들의 노동환경을 점검하고,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는 설문조사와 표적 집단 인터뷰(FGI) 등을 활용해 현장실습 경험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장실습 노동조건 실태 분석 △국내외 우수사례 조사 △노동인권교육 기준 마련 △안전한 실습환경 구축 방안 △단기·중장기 정책 제안을 논의했다.

실습생들의 경험담은 엇갈렸다. 긍정적 반응으로는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됐다” “취업준비에 유용했다” “채용시장의 높은 문턱을 넘기 위한 기회가 됐다” 등이 있었다.

부정적 의견은 “기업에 대한 선택지가 별로 없어 원치 않는 실습기관을 택했다” “단순노동만 하다 보니 아르바이트와 다를 게 없었다” “최저임금조차 받지 못하는 사례도 있었다” “직무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단순 보조업무만 하다 실습을 마쳤다” 같은 응답이 있었다.

제도 개선 의견도 나왔다. 실습생들은 “실습기관과 직무의 폭을 넓혀 선택지를 다양화해야 한다” “현장실습 후기나 실습기관에 대한 실습생 평가를 공유할 수 있는 소통공간이 필요하다”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조상기 경기도 노동권익과장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현장실습생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안전한 실습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겠다”며 “현장실습이 단순 노동력 제공이 아닌, 학생과 기업 모두에게 도움되는 제도가 될 수 있도록 연구결과를 대학, 기업 관계자들과 공유해 제도 개선을 위한 후속 논의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