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과 참여연대 등 노동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4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전면적 저항운동 선포 비상행동을 하고 있다.<정기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 요구로 6시간 만에 해제된 4일, 각계각층에서 계엄 선포를 규탄하고 윤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장에서 국민 주권 실현하자”

민주노총·전국민중행동·전국농민회총연맹 등 노동·시민단체는 이날 오전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비상사태에 해당하지 않는 상황에서 선포된 비상계엄은 그 자체가 위헌이자 위법하며 무효”라고 지적했다. 주최측 추산 약 500명이 모인 가운데 이들은 ‘위헌적 계엄 규탄’ ‘내란죄 윤석열 파면’ 같은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윤석열 정권 퇴진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이들 단체는 대통령 퇴진을 위해 광장으로 모이자고 한목소리를 냈다. 박석운 전국민중행동 공동대표는 “국회에만 맡겨 놓을 일이 아니다”며 “국회는 국회대로 (하고) 주권자 국민들이 협력해 광장에서 주권을 실현해 내자”고 말했다. 하원오 전농 의장도 “기후위기보다 더 위험한 윤석열 정권을 끌어내리지 않고는 농민들이 살 수 없다는 각오로 전봉준 투쟁단을 꾸려서 서울로 트랙터를 타고 진격할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계도, 법조계도 신속한 수사 촉구

언론계도 대통령 퇴진과 계엄 관련자들에 대한 구속 수사를 요구했다. 한국기자협회를 포함한 9개 언론현업단체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이 시간부터 윤석열은 더 이상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이 아니다”며 “그에게 맡긴 우리의 주권은 즉시 회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 윤석열은 대통령직에서 내려와 만인 앞에 평등한 법의 심판을 받아라”며 “윤석열에게 동조해 내란에 가담한 김용현 국방부 장관 등 공범들도 모두 구속 수사하라”고 외쳤다.

법조계도 이번 계엄선포가 위헌이라며 내란죄로 수사할 것을 촉구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은 이날 성명을 내고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헌법과 법률이 정한 절차에 의하지 않고 헌법 및 법률의 기능을 소멸시키려는 목적, 즉 국헌 문란의 목적 아래 이뤄진 폭동행위로서 내란죄에 해당한다”며 “수사기관은 헌법파괴범죄를 범한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과 그에게 협력한 군 관계자 등을 신속히 체포하고 수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오월단체 “공포와 분노 느껴”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단체도 일제히 규탄했다. 5·18 유공자 3단체(민주유공자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와 5·18기념재단은 4일 공동성명을 내고 “지난밤 비상계엄 조치가 온 나라 국민의 안전을 위태롭게 만들고 국제사회를 뒤흔들었다”며 “무능하고 잘못된 확신에 찬 대통령이 정말 무슨 짓을 저지를지 모른다는 공포와 분노를 한꺼번에 느끼게 한 사건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계엄이 해제됐다 하더라도 윤 대통령과 가담 인사들의 내란죄는 사라지지 않는다”며 즉각 퇴진과 구속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44년 전인 1980년 오월 광주를 또렷하게 기억하고 있다”며 “오월단체는 불법적인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끝까지 책임을 묻고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