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 조선소에서 산재 사망사고 18건이 발생해 노동자 22명이 목숨을 잃었다. 고용관계가 정확히 드러나지 않은 2명을 제외하면 모두 하청노동자다. 전문가들은 조선소 활황을 빌미로 작업량을 늘리면서 사고가 더 빈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민주노총은 공익감사를 요구했다.
12일 금속노조에 따르면 1월12일 경남 거제도 한화오션 조선소에서 발생한 폭발사고로 하청노동자 ㄱ(28)씨가 사망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9일 마찬가지로 한화오션에서 야간작업 중 추락해 사망한 ㄴ씨까지 22명이 사망했다.
원청별로 살펴보면 △한화오션 7명 △삼성중공업 2명 △HSG성동조선 1명 △현대중공업 1명 △초석HD 3명 △금강중공업 2명(1명은 캄보디아 국적) △현대삼호중공업 1명 △대선조선 2명 △케이조선 1명과 원청이 알려지지 않은 2명이다.
한화오션 사망자 7명 가운데 1명은 노조가 온열질환 사망으로 추정하고 있는 8월19일 산재사망이 포함돼 있다. 현재 정밀부검이 진행 중이다. 또 다른 1건은 사고 유형 등이 확인되지 않은 사망으로 사외업체 예인선 항해사가 바다 위 변사체로 발견된 건이다. 고용관계는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았다. 이 밖에 원청이 파악되지 않은 산재 사망자는 2명이다.
사고 유형을 살펴보면 △화재 및 폭발 4건 △떨어짐 3건 △익사 2건 △깔림 3건 △온열질환 2건(1건 추정) △원인미상 1건 △질병(급성 심근경색·뇌심혈관계 등) 3건이다.
전문가들은 업황 호전으로 늘어난 작업량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이상윤 노동건강연대 대표는 “호황을 맞아 작업량이 늘면서 다시 산재사고가 증가하는 추세”라며 “이런 와중에 인력구조는 고령화되고 이주노동자도 늘었을 뿐 아니라 물량팀 같은 하도급이 더 늘면서 안전에 취약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노동계는 공익 감사를 청구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정부 감독 사각지대에 있는 선박건조수리업 관련 감사를 감사원에 청구했다. 고용노동부와 해양수산부 같은 정부부처와 경남도 등 지방자치단체가 조선업 중대재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산업안전보건법 준수를 소홀히 하거나 관련 대책 수립에 미흡한 점은 없었는지를 살펴달라는 취지다. 민주노총과 금속노조를 비롯한 산별노조 간부 1천493명이 청구인으로 참여했다. 민주노총은 “조선업은 숙련공이 부족한 상황에서 물량이 늘고 이주노동자가 유입돼 중대재해 발생 우려가 더 커졌지만 노동부는 근본 대책 수립 요구를 수용하지 않고 전시행정을 거듭했다”며 “정부 관리감독의 사각지대에 방치된 선박건조수리업에 대한 감사를 청구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