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국회의장이 민주노총에 국회 사회적 대화 참여를 요청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게 우선인 정부가 책임을 방기하는 지금 국회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21일 오후 의장으로서는 처음으로 민주노총을 방문하고 “민주노총은 한국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고민하고 행동해 왔다”며 “사회적 대화 활성화를 위한 새 모델을 민주노총에 제안한다”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 사회적 대화, 다양한 논의 가능”
양경수 “현장 목소리 경청 반갑다”
우 의장은 국회 사회적 대화의 장점을 강조했다. 그는 “국회에서 사회적 대화를 하면 다양한 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다룰 수 있다”며 “국회는 생각이 다른 여야가 있지만 사회의 다양한 세력이 함께 논의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도 과제”라고 말했다.
국회 사회적 대화의 구상도 일부 드러냈다. 우 의장은 “노사, 노사정, 노정 등 다자간 대화뿐 아니라 의제별 테이블에 다양한 국회 상임위원회가 참여해 논의한다면 명실상부한 사회적 대화 허브가 될 것”이라며 “사회적 대화를 통해 갈등을 풀고 미래를 대비하는데 민주노총 역시 같은 생각일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도 공감을 표했다. 양경수 위원장은 “민주노총이 사회적 대화를 일방적으로 거부하는 것은 아니”라며 “대화의 조건과 경로를 잘 만들어 신뢰를 형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화답했다. 이어 “작은 영역부터 얽힌 갈등을 풀어가는 정형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신뢰를 형성하면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대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회의 적극적인 역할도 주문했다. 양 위원장은 우 의장의 제안에 앞선 환영사에서 “노동자의 노동과 삶을 규정하는 입법부 수장이 민주노총을 직접 방문해 현장 목소리를 경청하는 자리가 반갑고 감사하다”고 말했다.
박주민 복지위원장 “전에 없던 새로운 정치모델 될 것”
민주노총은 1999년 당시 노사정위원회에서 정리해고제 도입이 합의되자 불참을 선언하고 현재까지 정부가 주도하는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이를 의식한 듯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우 의장이) 사회적 대화에 대한 여러 청사진을 밝혔는데 전에 없던 새로운 정치 모델, 사회적 대화 모델을 만들 것으로 생각한다”며 “믿으셔도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안호영 국회 환경노동위원장도 “국회 사회적 대화의 틀을 잘 활용하면 전체 사회의 공감대를 만들어 의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민주노총은 우 의장에게 22대 국회 노동입법 요구안도 전달했다. 근로기준법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개정을 뼈대로 △노조법 2·3조 개정 △5명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초기업 교섭 제도화 △주 4일제 및 노동시간 상한제 도입 △부자증세, 복지재정 확대 △의료·돌봄·에너지 국가책임 공공성 강화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보건의료노조·서비스연맹·전교조·사무금융노조·교수노조·비정규교수노조·민주일반연맹·정보경제연맹 위원장이 참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