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을 9월부터 시작한다. 가사·간병 돌봄 분야와 외식·호텔업 분야에서도 외국인력 고용에 적극 나선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외국인주민과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도시 서울을 만들겠다”며 이런 내용을 담은 ‘외국인주민 정책 마스터플랜(2024~2028년)’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간병·육아 등 인력난이 큰 분야부터 내국인 일자리를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선별적으로 외국인력 도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고용허가제(E-9)를 통해 만 24~38세 필리핀 가사관리사를 정부 인증기관이 고용하고, 이용계약을 체결한 가정에 출퇴근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부터 나선다. 경력·지식, 어학능력(한국어·영어) 평가, 범죄이력, 마약류 검사 등을 거쳐 최정 100명을 선발해 종합교육·사전 취업교육 후 9월 중 시범사업을 시작한다.
간병인·요양보호사 외국인력 도입에도 나선다. 법무부가 지난 1월 국내 대학을 졸업한 외국인에 한해 요양보호사로 일할 수 있는 비자(준전문인력·E-7-2)를 발급해 요양보호사 시범도입(취업비자 총량예고제) 발표에 따른 것이다. 외식업·호텔업에도 외국인력 도입을 위해 내국인 일자리 침해 가능성을 고려해 비자 허가 업종 확대를 정부와 협의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준전문인력 취업학교를 운영해 가사관리사·간병인·요양보호사·의료코디네이터 등 국내 인력 공급이 부족한 분야 인력을 양성하고 수료자에게 일자리를 연계하겠다는 구상이다.
국내 주요 대학과 손잡고 이공계 석·박사급 인재 1천명을 유치하고, 해외 스타트업 유치를 위해 영어가 통용되는 글로벌 창업지원시설 ‘유니콘 창업허브’를 조성한다. 서울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전담창구를 지난 3월 신설한 바 있다.
이 밖에 외국인의 한국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서남권에 이어 동북권에 제2서울외국인주민지원센터를 내년 5월 개관하고, 25개 자치구 가족센터에 AI를 활용한 실시간 다국어 통역서비스를 도입한다. 임신·출산·돌봄서비스는 내·외국인 차별 없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달부터 초·중·고교 다문화자녀 교육활동비(40만~60만원)를 지원한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5년간 총 2천506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