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정원 2천명 증원을 둘러싼 의정갈등이 두 달을 넘긴 가운데 25일을 기점으로 의대 교수들의 무더기 사직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정부와 대통령실은 의료계에 집단행동을 멈추고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참여해 달라고 촉구했다.
장상윤 사회수석은 23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25일 정부, 의료계, 환자단체, 시민단체, 전문가를 비롯한 각계가 참여하는 사회적 협의체인 의료개혁특별위원회가 출범한다”며 “의사협회를 비롯한 의사단체는 의대 증원 정책의 ‘원점 재검토’ 입장만을 고수하고 있어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특위는 모두 27명으로 구성되나 대한의사협회와 전공의협의회 2명이 참여하지 않아 명단이 확정되지는 못했다. 정부는 명단을 확정하지 못해도 25일 특위를 출범하고 △필수의료 중점 투자 방안 △의료전달체계 개선방안 △의료인력 수급현황 주기적 검토 방안 등 시급한 의료개혁 과제를 논의하겠다는 방침이다.
장 수석은 “특위 출범 전까지 의료계의 전향적인 입장을 기대한다”며 “언제라도 ‘의대 증원 규모에 대해 합리적·과학적 근거를 갖춘 통일된 대안’을 제시하면 논의의 장은 열려 있다”고 말했다.
기로는 25일이다. 의대 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한 지 한 달이 되는 이날부터 무더기 사직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장 수석은 “사실이 아니다”며 “의대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 여부와 형식, 사직의 사유, 고용계약 형태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사직의 효력이 발생한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으로는 “최근 한 의과대학 학생회에서 소속 학생들의 학업 복귀를 집단적 강압에 의해 막아왔던 사실이 확인됐다”며 “교육부는 지난 18일 이 사안을 즉각 경찰에 수사 의뢰했고, 다른 대학에도 이러한 일이 있는지 사실 확인에 나섰다”고 말했다.
하지만 25일 의료개혁특위 출범을 앞두고 전국 주요 병원 교수들이 일주일에 한 번 외래진료와 수술을 모두 중단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등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어 대화 참여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임현택 의협 회장 당선인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사회수석이란 사람은 일 잘못해서 사표 내고 경질대상 아니냐”며 “사회수석이 의과대학 학생들까지 경찰 고발한 사태에 대해 교수님들과 어떻게 대처할지 상의한 후 엄중한 결단을 내리겠다”고 강경한 목소리를 유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