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2차 파업을 예고한 금융노조(위원장 박홍배)가 정부에 점포폐쇄 중단과 공공기관 구조조정 중단을 요구하며 1인 시위를 시작했다.
노조는 매일 오전 11시30분부터 오후 1시까지 서울시 종로구 금융위원회와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앞에서 1인 시위를 시작했다고 26일 밝혔다.
요구는 금융 공공성 강화다. 노조는 금감원이 은행의 무분별한 점포폐쇄를 묵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2020년 이후 시중은행 기준 매년 300곳 이상의 점포를 폐쇄한 은행들은 올해 상반기에만 점포 136곳을 폐쇄했다. 노조에 따르면 2017년 6천775곳이던 은행 점포는 올해 2분기 5천910곳으로 12.7% 감소했다.
가파르게 증가하는 점포폐쇄로 금융소외계층의 어려움이 커지면서 금감원은 지난해 3월부터 은행 점포폐쇄 관련 공동절차를 시행했지만 은행 자율에 맡겨 유명무실한 상황이다. 노조는 은행의 점포폐쇄가 가속화한 2020년부터 줄곧 금감원에 구속력 있는 점포폐쇄 절차 개선을 요구해 왔다. 아울러 노조는 수익성 위주의 영업 행태 등 사용자쪽의 금융 공공성 외면 행태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감독을 요구했다.
금융위에는 규제완화 정책 중단과 국책은행 공공성 훼손 시도를 규탄했다. 노조는 은행의 비금융회사 지분투자 범위를 확대하는 은행법 개정 시도를 금산분리 원칙 훼손이라고 비판했다. 또 한국산업은행 본점 부산 이전 중단과 국책은행 우량자산 시중은행 이관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최근 야당에 따르면 산은은 243조7천억원 규모의 영업자산 가운데 삼성물산과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같은 신용도가 높은 회사의 자산 106조5천억원을 시중은행에 넘기는 계획을 수립했다는 문건을 작성했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국회에서 “사실이 아니다”며 부인한 상태다.
이 밖에도 공공기관 구조조정을 위한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과 론스타 소송 관련 자료 공개도 촉구했다.
박홍배 위원장은 “9·16 파업을 통해 일어난 금융노동자의 분노를 정부와 감독당국에 전달하고 정책·감독의 전환을 통해 금융 공공성을 지킬 것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1인 시위는 노조 파업의 연장선으로, 노조 집행부는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앞에서 같은 시간 1인 시위를 진행할 계획이다.
노조는 올해 전국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산별중앙교섭을 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해 지난 16일 파업했다. 서울 세종대로에서 진행한 노조 파업대회는 주최측 추산 3만명이 집결해 용산구 삼각지역까지 행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