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처음 도입되는 중대선거구제 시범실시가 진보정치에 약이 됐을까.
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진보진영은 중대선거구제를 시범실시하는 기초의원 선거구 30곳 중 17곳에 출마했는데, 모두 4곳(23.5%)에서 당선됐다. ‘광주 광산구마’ 한윤희 정의당 후보와 ‘인천 동구가’ 김종호 정의당 후보가 각각 5명 출마한 가운데 3위, ‘광주 광산구다’ 김은정 진보당 후보가 5명 출마한 가운데 2위, ‘광주 광산구라’ 김명숙 진보당 후보가 4명 출마한 가운데 2위로 당선을 확정했다.
국회는 지난 4월 본회의에서 ‘4인 이상 선출시 2개 이상 선거구 분할 가능’ 조항을 삭제하고 이번 지방선거에 한해 전국 국회의원 선거구 11곳(기초의원 선거구 30곳)에서 선출인원을 3~5명으로 확대하는 중대선거구제를 시범실시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진보진영은 시범실시 선거구 17곳에 출마하면서 광주 광산구다선거구를 제외한 지역은 모두 후보단일화에 성공했다. 정의당 후보 11명, 진보당 후보 7명이 출마했다. 시범실시 선거구 30곳 중 4명 이상 정수인 선거구는 12곳이고, 이 중 진보후보가 출마한 곳은 9곳이다.
으레 정수가 많을수록 진보후보에게도 더 많은 기회가 올 것으로 기대했는데 4인 이상에서 당선자는 1명, 나머지 2명은 3인 선거구였다. 시범실시 선거구 결과로만 놓고 보면 진보정당에 유리하다고만 볼 수 없지만 전체 기초의원 당선자 현황을 보면 꼭 그렇지 않다.
기초의원 당선자는 정의당 6명(시범실시 2명), 진보당 17명(시범실시 2명) 등 총 23명이다. 그런데 2인 선거구인 충북 옥천군(송윤섭 진보당 후보)·전남 순천시(유영갑 진보당 후보)를 제외한 21개(91.3%) 선거구는 모두 3인 이상이다. 이 중 4인 선거구는 네 곳(시범실시 1곳)이다. 결국 진보정당 기초의원 당선자 10명 중 9명은 3인 이상 선거구에서 당선된 만큼 중대선거구제 확대가 진보정치에 약이 된다는 것은 객관적 사실로 증명된 셈이다.
한편 진보당 기초의원 당선자를 보면 울산(2명) 같은 노동현장 이외에도 전남·전북 등 농촌현장에서 다수 당선자를 배출했다. 진보당은 “역대 정권의 농업 포기 정책으로 농촌이 무너져 갈 때 농민들 속에서 진보정치를 키워 온 소중한 진보당 후보들”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