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코로나19 이후 더욱 심화하는 양극화 해소를 위해 경제·지역·노동 등 분야별 격차해소를 위한 7대 전략을 수립했다. 노동시장 격차해소를 위해 노동자 휴식권 보장·안전한 노동일터 조성·노동권익 보호에 힘쓴다.
경기도는 21일 “전담조직(TF)을 만들어 부서별로 흩어져 있던 격차해소 추진사업을 모아 행정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며 ‘불공정·격차 제로(Zero)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전략은 “분야별 격차해소로 공정하고 정의로운 경기 구현”을 기치로 7대 분야, 20대 중점과제, 73개 실행과제로 구성됐다. 7대 분야는 △경제적 불평등 완화를 위한 경제격차 해소 △지역불균형 완화를 위한 지역격차 해소 △노동시장 불안정성 해소를 위한 노동격차 해소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을 위한 플랫폼지위 격차 해소 △고른 교육기회 확대를 위한 교육격차 해소 △의료기본권 확충을 위한 의료격차 해소 △문화 형평성 제고를 위한 문화격차 해소다.
경기도는 73개 사업에 도비 1조8천553억원을 포함해 13조3천627억원을 투입한다. 기획조정실장을 단장으로 주요 실·국장 7명으로 이뤄진 전담조직(TF)을 구성해 실행과제를 중점 관리하며 중장기 격차해소 방안 마련과 신규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다.
노동시장 격차해소 방안으로는 경비·미화노동자 휴게시설 지원 등 노동자 휴식권 보장, 노동안전지킴이 31개 시·군 확대 등 안전한 노동일터 조성, 택배노동자 전담지원센터 운영 등 노동권익보호 확대를 중점과제로 제시했다.<표 참조>
경제격차 해소를 위해 경제적 기본권 보장을 위한 기본소득·기본주택·기본금융 등 '기본시리즈' 정책 추진, 비정규직 공정수당·생활임금제 확산 등 임금격차 해소 지원, 공공임대주택 20만호 제공을 비롯해 취약계층 지원을 펼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