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는 세월호 참사에서 구조에만 실패한 게 아니라 유가족과 민간잠수사에 대한 지원도 엉망이었다."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위원장 이석태)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YWCA 대강당에서 연 마지막 날 청문회에서 드러난 박근혜 정부 위기 대응 수준이다. 지난 14일부터 사흘간 진행된 청문회에 참고인으로 출석한 정성욱 4·16가족협의회 인양분과장은 “초기에 아이들 시신이 올라오면 기자들이 면포 걷어내고 사진 찍느라 바빴다”며 “가족들이 몇 번이나 항의하고 싸워서야 정부가 통제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참사 초기 냉동보관소가 없어 시신 보관이 엉망이었고 장례비용도 경기도교육청이 부담한다고 했으나 혼선이 있었다는 지적이다. 단원고 희생자 이준호군 아버지 이수하씨는 “많은 공무원들이 팽목항에 내려와 있었지만 가족들이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해야만 조금씩 움직이고 바뀌었다”며 “처음에는 장례비용을 정부가 낸다고 들었으나 나중에서야 초과분은 가족이 내라고 전달 받았다”고 주장했다.

해양수산부가 세월호 인양작업에 대해서 가족들에게 공개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성욱 분과장은 “해수부는 처음에 모든 것을 공개하고 가족의 참여를 약속했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자발적으로 수색에 참여한 민간잠수사에 대한 대우 역시 형편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전광근 잠수사는 “참사 다음날인 지난해 4월17일부터 며칠간 머물렀던 경비정 P19정에서는 유가족들이 보내 준 빵이나 라면을 먹고 갑판 위에서 잠수 슈트를 입고 잤다”며 “7월10일 현장을 떠난 뒤에 누구 하나 트라우마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전화 한번 받은 적 없다”고 증언했다.

김관홍 잠수사는 “해경잠수사는 3교대로 하루 1회씩 입수했지만 민간잠수사는 하루 3~5회씩 들어갔다”며 “7월10일 현장을 떠난 뒤 트라우마로 인해 정신과 약물치료를 받았지만 지원이 끊겨 현재 자비로 병원을 다니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