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단체가 성과로 꼽은 것은 새로운 쟁점이 드러난 대목이다. 우선 세월호 참사 당시 사용된 공용무선망 녹취록이 한 가지 버전이 아니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들은 “해경은 녹취록을 각기 다른 버전으로 만들어 검찰과 감사원에 제출했다”며 “두 가지 버전은 작성형식도 다르고 그 내용도 상이한 데다 해경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부분이 삭제돼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해당 녹취록들이 어떤 경위로 누구에 의해 작성됐는지 규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4·16연대와 4·16가족협의회는 이어 "김경일 123정장 기자회견이 해경 지휘라인에 의해 조직적으로 진행됐다"고 지적했다. 김 정장은 참사 이후 기자회견에서 퇴선명령을 수차례 방송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김 정장은 청문회에서 “퇴선명령 방송을 한 적이 없다”며 “김문홍 전 목포해양경찰서장이 기자회견을 지시했다”고 입을 열었다.
두 단체는 “검찰 수사에서도 드러나지 않았던 기자회견을 지시한 윗분의 이름이 처음으로 거론됐다”며 “추가적인 진상규명을 하라”고 촉구했다.
두 단체는 “123정이 참사 초기 선장과 선원만 먼저 구해 냈을 때 123정 해경들은 이들이 승객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았을 것이란 점이 여러 정황을 통해 (청문회에서) 문제제기가 됐다”며 “이것이 사실이라면 구조실패가 아니라 구조방기가 명확해진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이어 “이전에 논의되지 않던 의혹이 새롭게 부각되면서 진상규명에 한 발짝 다가가는 동시에 진상규명 필요성을 다시 환기할 수 있었다”며 “16일까지 진행되는 청문회에서 특별조사위원들의 분발과 증인들의 성실한 답변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