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석태 위원장은 3일 오전 서울 중구 특별조사위 대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특별조사위 예산증액 필요성을 충분히 설명해 왔음에도 증액이 이뤄지지 않아 유감”이라며 “내년 예산으로는 인양된 세월호 선체 정밀조사가 가능하지 않다”고 우려했다. 특별조사위는 진상규명 사업에 대해 75억5천만원의 예산을 요구했지만 9% 수준인 6억7천만원만 편성됐다.
이 위원장은 “국회에서 의결된 것인 만큼 확정된 예산으로 최선을 다해 직무를 수행하겠다”면서도 “세월호 선체 인양 중이나 후에 필연적으로 특별조사위가 조사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예산은 좀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가해자로 박근혜 대통령이 표기된 조사신청서 논란에 대해 이 위원장은 “옛 조사신청서 양식을 사용해 불거진 사안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특별조사위는 조사신청서 양식을 초기에는 피해자·가해자로 표기된 옛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것을 사용하다 9월25일부터 희생자·생존자 혹은 조사대상자로 수정한 양식을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해당 유가족이 옛 양식으로 작성하는 바람에 벌어진 일이라는 설명이다.
여당추천 위원들이 외부에서 인터뷰나 기자회견을 통해 특별조사위 활동을 비판하는 것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이 위원장은 “위원들이 각종 회의에서 의견을 개진할 기회가 충분한데도 외부에서 특별조사위 존재와 목적을 부정하는 것은 부적절한 행위”라며 “조직의 지휘·감독 권한이 위원장에게 있는 만큼 지휘체계를 존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