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 절반(44.7%)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당일 서울시청을 폐쇄했다는 의혹을 최악의 정책으로 꼽았다.
오세훈OUT!공동행동은 13일 오전 서울 KT광화문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온라인으로 오세훈 시정 가운데 최악의 퇴행 정책을 물은 결과 시민 992명이 참여해 내란 동조(44.7%)를 첫손에 꼽았다고 밝혔다.
12·3 비상계엄 당시 서울청사를 폐쇄하고 출입을 통제했다는 의혹과 전농의 남태령 진입을 저지한 점, 윤석열 전 대통령 변호인단으로 활동한 서울시 인권위원장을 옹호한 행위 등을 묶어 내란 동조로 봤다. 전반적인 시정기조를 꼬집은 맥락이다.
5순위까지 물은 이번 투표에서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지하철 시위를 탄압한 정책(34.5%)을 비롯해 △한강버스(32.9%) △TBS 폐쇄(32%) △리박스쿨 연계 의혹 단체에 시립청소년성문화센터 위탁 시도(31.4%) △이태원 참사 책임이 있는 용산구에 안전관리대상 수여(31%) △서울학생인권조례 폐지(28.2%) △송현광장 이승만기념관 건립 시도 및 광화문 광장 태극기 조형물 설치 시도(28.1%) △남산곤돌라와 서울항 등 치적 쌓기용 세금낭비 난개발(27.1%) △서울시립십대여성건강센터 나는봄 폐쇄(23.5%) 등이 최악의 퇴행 정책으로 꼽혔다. 오 시장은 12·3 비상계엄 당시 서울청사를 폐쇄한 적 없고, 출입증 패용시 출입을 허용했다고 반박하고 있다.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는 “오 시장은 임기 때마다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약속했지만 공염불이었다”며 “정당한 권리를 외치는 장애인 투쟁에 대해 고소·고발과 손해배상 청구로 탄압했다”고 강조했다.
최영 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팀장은 “안전사고 등 한강버스를 둘러싼 우려와 의혹이 드러나고 있는데 운항이 계속될수록 더 많은 문제가 발생할 것이고 더 큰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다분하다”며 “이를 방지하는 방법은 전면 중단뿐”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공동행동은 서울 시민 1만명이 참여한 ‘오세훈 OUT! 엄정·구속수사 촉구 서명’을 김건희 특검에 전달하고 수사를 촉구했다. 김진억 민주노총 서울지역본부장은 “일개 정치브로커에게 선거 승리를 의탁하고 특검 수사 칼날 앞에 생명이 달린 오세훈은 더 이상 시장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한편 공동행동은 민주노총 서울본부와 전장연·서울환경연합 등 서울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 315곳이 참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