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와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가 1일 오전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과 애도의 달’을 선포했다. 25일 시민추모대회, 29일 기억식을 개최한다.

올해 3주기 추모행사는 지난해 5월 10·29이태원참사 피해자 권리보장과 진상규명 및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법(이태원참사진상규명법)이 제정된 뒤 처음으로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 정부가 공동으로 준비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와 서울시가 공동주관한다.

‘별들과 함께 진실과 정의로’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되는 만큼 159명이 희생된 이태원 참사의 진실을 규명하고 책임자에 책임을 물어 정의를 바로 세우자는 뜻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들 단체는 “재난참사 피해자들이 함께한 대통령 경청행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공식 사과가 있었고, 지난 6월 10·29이태원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도 개시됐다”며 “그러나 3주기를 한 달 앞둔 지금까지 2022년 10월29일 그날 왜 참사가 발생했는지, 왜 구조에 실패했는지 제대로 밝혀진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많은 인파가 몰릴 것을 알고도 왜 인파 관리대책을 수립하지 않았는지, 쏟아지는 신고 전화에도 왜 경찰을 배치하지 않았는지 우리는 아직도 알지 못한다”며 “참사 수습과정에서의 무능과 부실, 혼란과 혼선의 책임도 제대로 밝혀내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밝혀내고, 드러내야 한다”며 “진실을 세상에 명명백백히 드러내고, 지연된 정의를 바로 세우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특조위 자료수집과 관련자 조사, 검경 합동수사팀 수사 등 그날의 진실을 밝히고자 하는 모든 노력에 그 어떤 방해나 지체도 있어서는 안 된다”며 “이번 참사 3주기를 기점으로 제대로 된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 재발방지 대책 수립으로 나아가는 더 단단한 디딤돌이 놓여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29일 오전 10시29분 광화문광장에서 ‘이태원참사 3주기 기억식’이 개최된다. 앞서 25일 참사 당일 112 최초 신고 시간인 오후 6시34분에는 서울광장에서 ‘이태원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가 열린다. 이번 주요 추모행사에는 외국인 희생자 26명 중 20명의 가족 45명이 처음으로 정부의 공식 초청으로 방한해 참가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