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서부발전은 지난 24일 충남 태안군 태안발전본부에서 노사정과 협력업체가 참여한 가운데 안전 선언문을 채택했다. <한국서부발전>

한국서부발전이 중대재해 예방을 다짐하는 안전 선언문을 발표하며 2차 하청업체 노사는 제외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부발전은 지난 24일 충남 태안군 태안발전본부에서 노사정과 협력업체가 참여한 가운데 ‘일하는 모든 사람’안전 선언문을 채택했다고 25일 밝혔다. 행사에는 한국서부발전노조, 서부발전,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서산출장소와 11개 1차 협력업체 노사 대표가 참여했다. 그런데 2차 협력업체 노사는 참여 대상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이날 선언문에는 “안전은 비용이 아닌 기본권이며 어떠한 생산성과 효율성도 안전보다 우선할 수 없다”는 내용을 담았다. “모든 일하는 사람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는 약속도 발표했다. 그런데 정작 최근 중대재해로 동료를 잃은 2차 하청업체 노동자는 이 선언의 주체로 나서지 못했다. 지난 6월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숨진 2차 하청업체 노동자 고 김충현씨의 동료들은 트라우마 치료를 받고 이달 1일부터 작업 현장에 복귀한 상태다.

최근 5년간 벌어진 산재사망 사고가 발전소 협력업체 노동자에게 집중된 점을 고려하면 안전관리체계에서 협력업체 노동자들을 참여시킬 필요는 크다. 앞서 지난 18일 안전보건공단은 고 김충현씨 사망 이후 실시한 종합진단에서 발전소 안전보건관리체계 강화를 위해 “2차 하청을 포함한 모든 하청업체를 포함한 원하청안전근로협의체를 구성하라”고 제언하기도 했다. 발전소 내 안전관리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데에는 원청인 한국서부발전과 1차 하청격인 한전KPS의 책임이 크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됐다.

한국서부발전 관계자는 “2차 하청 노사를 의도적으로 배제한 것은 아니다”며 “1차 협력업체만 참여했다”고 해명했다.

태안화력발전소는 지난 2018년 고 김용균씨에 이어 올해 6월에도 고 김충현씨가 일하다 숨져 발전비정규직 중대재해가 연이어 발생한 곳이다. 고 김충현씨 산재 사망 이후 노동·시민·사회단체는 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를 꾸려 정부와 발전소 안전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박정훈 대책위 집행위원장은 “발전소에서 또다른 산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기에 이를 위해서는 모두가 함께 뜻을 모을 수 있기를 바란다”며 “공단이 발전소 중대재해 근본 원인을 다단계 하청 고용구조로 지목한 만큼 2차 하청 문제를 포함해 향후 안전 대책을 세우는 것이 산재를 예방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