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한국지엠 노사 임금교섭 잠정합의안이 노동자 찬반투표에서 가결했다. 자산매각 불안이 가시지 않은 정비 분야 노동자는 반대가 더 많았다. 한국지엠 노사는 고용안정특별위원회에서 자산매각건을 다시 검토한다.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는 22~23일 올해 임금교섭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을 물은 결과 6천939명 중 6천508명(93.8%)이 투표해 4천330명(66.5%) 찬성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노사는 지난 18일 △기본급 9만5천원 인상 △일시·성과급 1천750만원 지급 △생산 모델 적기 출시 △자산매각건 고용안정특별위 논의 등에 합의했다. 성과급은 타결 일시금과 지난해 경영성과 성과급 등이 포함됐다.

부평·창원공장과 정비직무 등 3개로 구분해 치른 이번 찬반투표에서 정비직무 조합원 찬성률은 25.9%로 낮았다. 사용자가 5월28일 미국 관세 인상에 대응하겠다며 직영정비사업소 9곳과 부평공장 유후부지 매각을 밝힌 뒤 발생한 고용불안이 해소되지 않은 탓으로 보인다. 한국지엠 노사는 자산매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결과가 없음을 전제로” 고용안정특위에서 논의하기로 했다. 지부는 특별교섭을 당초 요구했지만 사용자쪽이 결과를 정하지 않은 논의에 동의하면서 합의에 이르렀다. 향후 자산매각을 두고 격론이 예상된다.

노사는 이번 교섭에서 한국지엠 공급망 내 하도급업체 대상 공동 안전·보건 점검과 작업환경 평가 실시 등에도 합의했다. 지부는 지난해부터 한국지엠 공급망에 속한 노사의 공동대응을 강조하면서 하도급업체와 공급망 내 노동자의 처우개선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