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인 가구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넘어섰고, 가구의 1~2인 소형화와 절반이 고령화한 현상도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은 9일 ‘가구 구조의 대전환: 2050년 미래 전망과 OECD 국제 비교’ 이슈페이퍼에서 이같이 밝혔다.
우리 사회는 총인구가 줄어드는 동시에 가구가 작게 쪼개지는 구조적 전환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의 ‘장래가구추계(2022~2052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2020년 5천184만명을 정점으로 2050년에는 4천711만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반면 가구수는 2041년 2천437만 가구로 정점을 찍고 2050년 2천361만 가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김 이사장은 “저출산·고령화와 가치관의 변화로 1인 가구와 2인 가구가 급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1인 가구는 2020년 31.2%에서 2050년 41.2%, 2인 가구는 같은 기간 28.0%에서 35.3%로 늘어날 전망이다. 2050년 네 가구 중 세 가구(76.5%)가 1~2인 가구로 구성되는 구조적 전환을 맞게 된다는 얘기다.
가구주 고령화는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봤다. 65세 이상 고령 가구주가 2020년 22.4%에서 2050년 50.0%로 두 배 이상 늘어나 전체 가구의 절반을 차지할 전망이다. 이에 비해 중장년(30~54세) 가구주는 47.2%에서 28.6%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1인 가구 비율은 35.5%(인구주택총조사 기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2.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핀란드(45.3%)·독일(43.1%)·노르웨이(42.1%) 등 북유럽 국가보다는 낮지만, 영국(30.8%)·미국(27.6%) 등 영미권 국가나 스페인(27.0%)·이탈리아(36.6%) 등 남유럽 국가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이다. 김 이사장은 “1인 가구 증가가 세계적 추세임을 고려할 때 한국은 이미 그 흐름의 선두 그룹에 위치해 있다”고 진단했다.
김 이사장은 “이는 1인 가구의 부상과 가구의 소형화·고령화는 일시적 현상이 아닌 한국 사회가 마주한 거대하고 비가역적인 구조적 전환”이라며 “정책 패러다임의 전면적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주택·복지·조세·소비 등 사회 모든 영역에서 여전히 표준으로 여겨지는 ‘4인 가구’ 중심의 설계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이제는 1~2인 가구, 폭발적으로 증가할 고령 1인 가구의 특성과 필요를 정책의 새로운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