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비정규직노조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대표단이 더불어민주당과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협약을 체결하고 단식농성을 풀었다.

연대회의는 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농성 해단식을 열고 “(농성 결과) 학교비정규직 저임금 구조 해결 노력이 민주당 대선 정책과제로 채택되고 학교급식 위기를 교육복지 핵심 의제로 끌어 올렸다”며 “단식으로 이룬 성과 위에 연대회의 10만 조합원 힘을 더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11일간 진행한 단식과 농성을 모두 해제했다. 연대회의는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와 학교비정규직노조·전국여성노조가 활동하는 연대단체다.

연대회의는 이날 오전 해단식에 앞서 국회에서 민주당과 정책협약을 체결했다. 연대회의와 민주당은 △학교급식법 개정과 학교급식 종합대책반 마련을 통해 학교급식 일자리 경쟁력 제고와 안정적 교육복지 확대 노력 △학교 비정규직 저임금 구조 해결을 위한 임금체계 개편과 방학 중 무임금 대책 마련 노력에 합의했다. 민병덕 민주당 을지로위원장은 “학교급식 노동자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해단식에서 “오늘 성과는 대표단의 고통을 넘어 10만 조합원 전체의 힘으로 만든 결과”라며 “이제 그 힘을 더 크게 모아 학교에서 시작하는 사회대개혁과 정치를 바꾸는 실천, 비정규직 저임금 구조 철폐, 교육복지 주체 교육공무직 위상강화의 길로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대회의는 지난달 21일부터 학교급식 결원사태와 저임금,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요구하면서 단식농성을 시작했다. 이들은 △급식실 적정 조리인력 기준 마련 △방학 중 비근무 저임금 구조 해소 △고강도 노동 해소와 산재예방 시설, 조리공정 기준 마련 △교육공무직 직무평가 연구용역 △공정한 임금체계 및 임금수준 개선안 마련 등을 요구했다.

키워드

#대선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