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방의 날'로 부르는 미국의 상호관세 계획 발표를 앞둔 1일 오전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전용부두에 수출용 차량들이 세워져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방의 날'로 부르는 미국의 상호관세 계획 발표를 앞둔 1일 오전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전용부두에 수출용 차량들이 세워져 있다.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6곳은 미국의 관세 인상 영향권에 있다고 인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월21일~3월7일 전국 제조업체 2천107곳을 대상으로 미국 관세 영향을 묻는 조사를 실시한 결과 60.3%가 직·간접적 영향에 노출돼 있다고 응답했다.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14%, 간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46.3%다. 미국 관세와 무관하다는 응답은 39.1%로 나타났다.

영향권에 놓였다는 기업을 살펴보면 24.3%가 부품·원자재를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이다. 미국에 완제품을 수출하는 업체는 21.7%로 나타났고 △중국, 멕시코, 캐나다 제외한 3국 수출기업 및 내수기업 17.9% △부품·원자재 미국 수출기업 14.2% △부품·원자재 중국 수출기업 13.8% △멕시코·캐나다 수출기업 8.1%다.

업종별로는 배터리 84.6%, 자동차·부품 81.3%가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했다. 이밖에 △반도체 69.6% △의료정밀 69.2% △전기장비 67.2% △기계장비 66.3% △전자·통신 65.4%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미국에 진출한 우리 대기업에 부품, 소재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가 많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직·간접적 영향권 격차에 따라 걱정은 달랐다. 전반적으로 납품물량 감소(47.2%)과 수익성 악화(24%) 우려가 컸지만 직접 영향권에 놓였다고 응답한 완제품 대미 수출기업은 납품물량 감소(25%) 우려보다 수익성 악화(35.8%) 우려가 컸다.

대응은 관세 동향 모니터링(45.5%) 수준에 머물렀다. 다만 관세 동향 모니터링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각각 46.4%와 44.8%로 대동소이 했지만 대응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대기업 4.4%, 중소기업 24.2%로 차이를 보였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