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공동의장 14명이 단식을 해제했다.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헌법재판소에 촉구하는 긴급행동에 나서기로 했다.
비상행동은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서십자각터 공동의장 단식농성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8일부터 시작한 공동의장단 단식을 이날 해제한다고 밝혔다. 이날로 14일차다.
한국노총 26일 대표자 결의대회
민주노총 27일 총파업 예고
이호림 공동의장(성소수자차별반대무지개행동 집행위원)은 “헌재가 단식 14일차인 이날까지 선고 기일을 공지하지 않아 비상행동은 전면적 투쟁에 돌입하기 위해 단식을 중단하기로 했다”며 “광화문 거점을 지키는 투쟁을 벗어나 전국 방방곡곡 동네와 거리에서 윤석열 파면과 민주주의 회복을 염원하는 주권자 시민의 절실한 열망을 모으는 데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홍정 공동의장(자주통일평화연대 상임대표)은 “윤석열 탄핵심판이 진행되는 동안 민주공화국의 사법적 정의가 붕괴됐고 비상계엄 전후 드러난 내란과 외환죄 실체가 명백함에도 헌재 심판이 지연되고 있다”며 “내란수괴와 공범 처벌이야말로 민주 헌정질서의 회복이며 훼손된 민주주의 회복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비상행동은 25일 윤석열 즉각 파면을 촉구하는 이른바 전봉준 투쟁단의 트랙터 시위를 예고했다. 시민사회 연대의 상징이 된 남태령에서 출발해 광화문까지 행진한 뒤 집회를 연다.
26일에는 한국노총이 대표자 결의대회를 연다.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주최하는 윤석열 파면촉구 결의대회도 예정돼 있다. 민주노총은 26일까지 헌재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을 정하지 않으면 27일 총파업한다.
“다음주 초 파면 계획 없으면
헌재도 시민 분노 목도할 것”
이날 공동의장단은 시민의 참여를 호소했다. 헌재에 선고를 호소하는 기존 태도를 전환해 헌재의 파면선고를 이끌겠다는 각오다. 이들은 “상인은 하루 장사를 멈추고 장애인·철거민·노점상·문화예술인도 광장에 모여 윤석열 즉각 파면과 헌재 선고를 요구할 것”이라며 “다음주 초 윤석열 파면 계획이 나오지 않는다면 헌재의 무책임한 시간끌기와 내란세력 밀어주기에 대한 시민의 분노를 똑똑히 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광장 깃발은 한남동이 아닌 헌재를 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동의장으로 단식을 함께 한 양대 노총 위원장도 결의를 다졌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헌재의 이 같은 선고 지연은 매우 비상식적으고 헌재의 판결이 법리가 아닌 정치적이라는 방증”이라며 “즉각 선고하고 파면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강고한 한국사회의 특권 카르텔을 무너뜨리는 일이라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담담하고 담대하게 꾸준히 총집결해 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8일 함께 단식을 시작했던 진영종 참여연대 공동대표는 지난 19일 건강악화로 병원에 후송돼 단식을 중단했다. 정영이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회장도 진 공동대표와 함께 후송됐으나 병원에서도 회복식을 거부하고 다시 농성장에 복귀해 이날 해제했다. 대표단은 기자회견 뒤 병원으로 이동했다. 단식에 동참했던 대학생 5명도 이날 단식을 풀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