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 종결이 13일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조기대선 가능성을 염두에 둔 여야 잠룡들의 움직임이 바빠지는 모양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2일 오전 국회도서관에서 서울시가 주최한 ‘87체제 극복을 위한 지방분권 개헌 토론회’에서 지방분권을 뼈대로 하는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오 시장은 “(지금 위기의 원인은) 더불어민주당의 의회 폭거, 반복되는 탄핵, 특검, 터무니없는 예산 삭감에 있겠지만 그 바탕에는 제왕적 대통령을 견제하겠다는 명분이 있었다”며 “그렇다면 권력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바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5년 단임제에서 4년 중임제로 바꾸는 것에는 반대하지 않는다면서도 그보다는 권한을 과감하게 분산하는 방법이 낫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오 시장은 “권한을 더 분산하는 방식은 대통령이 가지고 있는 막강한 권한을 지자체에 과감하게 넘겨 지자체별로 발전전략을 짤 수 있는 재정권을 행사하는 것”이라며 “이것이 훨씬 더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막고 아울러 의회의 폭거도 막을 수 있는 해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여권의 잠룡인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재의 탄핵심판을 비판하고 나섰다. 원 전 장관은 “지금의 헌재는 헌법으로부터 오히려 도망 다니는 ‘헌법도망소’의 모습을 보인다”며 “헌재는 한 권한대행 탄핵 정족수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핵심적인 사안에 대한 판단을 미루고 도망치면 안 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7·23 전당대회에서 낙선한 이후 공개 석상에 잘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원 전 장관이 윤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국회를 찾아 목소리를 높인 것을 두고 조기대선 준비 행보로도 읽힌다. 원 전 장관은 “13일 탄핵심판 변론기일이 끝날 수도 있다는 시급성 때문에 나왔다”며 “지금은 공정한 탄핵심판이 되도록 모든 힘을 기울이는 게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이며, 그에 따라 대통령 복귀가 이뤄지는 것이 가장 우선”이라고 에둘러 표현했다.

야권에서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독주 속에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적극적인 행보도 눈에 띈다. 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의회 도정연설에서 “이제 우리는 윤석열 정부가 남긴 역주행의 상처, ‘12·3 내란사태’가 던진 폭력의 그늘을 넘어서야 한다”며 “민생을 살리고 경제를 재건하며 완전히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라는 것이 도민과 국민이 내린 명령”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계엄과 내란으로 피폐해진 민생을 되살리는 것이야말로 우리 모두의 막중한 책무”라며 “‘경제의 시간’이 부여한 책임을 다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여는 데 경기도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자료사진 경기도
자료사진 경기도
KBS 갈무리
KBS 갈무리

 

키워드

#내란 #탄핵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