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여당은 물론 더불어민주당까지 나서 주 52시간(연장근로 12시간 포함) 상한제 적용을 제외하는 반도체특별법을 추진하는 가운데, 민주당 대권 주자 중 한 명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주 52시간 특례에 반대 의견을 밝혔다.
김 지사는 4일 저녁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AI 기술 진보시대에 노동시간을 늘리는 것이 반도체 경쟁력 확보의 본질이냐”며 “시대를 잘못 읽고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반도체 산업현장에서 현행 근로기준법의 예외 제도를 활용하기 어려운 실제적인 사유가 있다면 현행 제도를 수정·보완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필요하면 현행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특별연장근로제도, 시간선택제, 탄력근로제, 재량근로제 등을 활용하면 된다는 얘기다.
김 지사는 대한민국 반도체 주권을 지키기 위한 과제로 △재정을 포함한 과감한 지원 △전력과 용수 문제 해결 △반도체 인프라 확충을 제시했다. 그는 “다른 데 시간 허비 말고 인프라 확충과 용전·용수 문제 해결 방안부터 빨리 논의하라”고 촉구했다.
김 지사의 이런 주장은 반도체특별법 제정안 이달 내 국회 처리를 추진하고 있는 정부와 여당은 물론, 이재명 민주당 대표까지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