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국정 정상화를 위한 협력체를 제안하며 정국 주도권 잡기에 나섰다. 이를 거부한 국민의힘은 한동훈 대표 거취를 놓고 내분에 휩싸이고 있다.
탄핵 가결 이튿날인 15일 더불어민주당은 국정 정상화를 위한 초당적 협력체를 구성하자고 선제적으로 제안하고 나섰다.
국무총리실 “국회·정부 협력 준비돼”
이재명 “헌재 파면절차 신속 진행해야”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 정상화를 위한 초당적 협력체, ‘국회·정부가 함께하는 ‘국정안정협의체’ 구성을 제안한다”며 “민주당은 모든 정당과 함께 국정안정과 국제신뢰 회복을 위해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 제1당’으로서 민주당이 시장 안정화, 투자보호 조치, 산업정책과 통상외교 전략,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적극 뒷받침하는 한편 외교·안보의 공백을 메우고 동북아 안정과 한반도 주변국과의 협력관계에 변함이 없도록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헌법재판소는 윤 대통령의 파면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해 달라”며 “그것만이 국가의 혼란과 국민의 고통을 최소화할 유일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에도 적극적인 협조를 촉구했다. 이 대표는 “(국민의힘은) 이제 여당이 아니다. 여당도 야당도 사라졌다”며 “대통령 직무정지는 대통령이 없어진 상태와 같아 헌법과 법률이 정한 순서대로 대통령 권한을 대신하는 중립 상태로 돌아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국회 구성원 제2당으로서 국정안정과 민생회복 공통의 목표에 협조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며 “협조하지 않으면 정당으로서 존재의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12·3 내란사태 피의자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재명 대표는 “너무 많은 탄핵을 하면 국정에 혼선이 초래할 것이라는 판단 때문에 일단 탄핵 절차를 밟지 않기로 했다”며 “전날 한 권한대행과 통화에서 여야, 정파를 떠나 중립적으로 국정을 해 나가셔야 한다고 말했고 한 권한대행도 흔쾌히 동의했다”고 소개했다.
이 대표의 제안에 국무총리실측도 “헌법과 법률에 따라 국정의 조속한 안정을 위해 여야를 포함한 국회와 적극적으로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권성동 “민주당이 여당?” 민주당 “국정안정 뒷전”
여당 지도부 붕괴 초읽기, 한동훈 대표 16일 기자회견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표의 제안을 거부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힘은 여전히 (대통령이 소속된) 여당이고, 헌법 규정에 의해서 대통령 권한대행이 임명됐다”며 “지금까지 해 온 것처럼 당정협의를 통해 여당으로서 책임 있는 정치를 끝까지 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어 “마치 탄핵소추 이후 민주당이 여당이 된 것처럼, 국정운영 책임자가 된 것처럼 행동하는 건 옳지 못하고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국민의힘도 대통령 직무정지와 함께 사실상 여당의 지위를 잃은 것이나 마찬가지인데,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느냐”며 “당 쇄신과 국정안정은 뒷전이고 권력 다툼에만 골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한동훈 대표 지도체제 붕괴를 코앞에 두고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전날 윤 대통령 탄핵안 가결 뒤 친윤계 중진의원 중심으로 한 대표에 대한 사퇴 요구가 쏟아졌고, 선출직 최고위원 5명(김민전·김재원·인요한·장동혁·진종오)이 전원 사의를 표명하면서 한동훈 지도체제가 버티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 대표는 당초 사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였던 한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 계획을 번복한 뒤 16일 오전 기자회견을 예고했다. 입장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