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셀 참사 유족과 시민들이 아리셀 모기업인 에스코넥에 참사 해결 교섭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와 아리셀 산재피해 가족협의회는 10일 오전 경기도 광주시 에스코넥 본사 앞에서 시민 2천145명의 서명을 담은 항의서한을 에스코넥에 전달하고 교섭 참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참가자들은 “군납 배터리 비리 조작과 불법파견, 각종 안전조치 위반으로 아리셀에서 노동자 23명이 참혹하게 죽었다”며 “아리셀 지분 96%를 소유한 에스코넥은 운영자금을 지원하고 아리셀을 일개 부서처럼 운영했지만 (참사가 발생하자) 대표이사인 박순관은 아리셀을 정리하고 모기업 에스코넥만 살리는 기사회생을 도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순관 아리셀 대표는 당초 아리셀과 에스코넥 대표를 겸했지만 아리셀 중대재해 혐의에 따른 구속을 앞두고 에스코넥 대표직을 내려놨다. 아리셀에 대해서도 아들인 박중언 아리셀 총괄본부장에게 경영을 일임했다며 중대재해 책임을 전면 부정하고 있다.

아리셀은 에스코넥의 자회사로 리튬전지를 생산해 방위사업청에 납품하는 업무를 주로 했다. 아리셀이 제대로 된 실적을 내지 못하자 에스코넥이 차입금 155억원을 투입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에스코넥과 아리셀을 분리하려는 시도에도 경찰은 에스코넥을 압수수색하고 임직원 등을 송치했다.

아리셀 참사 이후 대책위와 유족은 아리셀에 교섭을 요구하고 사과를 촉구했다. 현재는 아리셀 모기업인 에스코넥에 책임을 추궁하면서 이날로 62일째 아리셀 앞에서 농성하고 있다.

한편 아리셀 참사는 지난 6월24일 리튬 일차전지를 생산하는 아리셀 화성공장에서 화재로 대피하지 못한 노동자 23명이 사망한 사고다. 이 가운데 18명은 이주노동자로, 제대로 된 근로계약서조차 쓰지 않아 불법파견 혐의를 받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