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셀 유가족이 박순관 아리셀 대표에 대한 엄벌을 촉구했다.
아리셀 산재피해 가족협의회는 9일 오후 3차 공판준비기일이 열린 수원지법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판준비가 길어져 재판이 해를 넘겼다”며 “재판이 지연되면 박 대표 등의 구속기간이 만료할 우려가 있으므로 신속히 재판해 달라”고 강조했다.
유가족은 9월 말 구속된 박 대표 재판이 지연되면서 내년 3월 구속기간 만료로 풀려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 대표는 참사 당시 아리셀과 아리셀 모기업인 에스코넥의 대표다. 아리셀 참사 이후 에스코넥 대표직은 내려놨다. 아리셀 참사 수사가 에스코넥으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박 대표 등에 대한 재판은 공판준비기일만 3차례 진행됐다. 이달 추가 재판 일정은 없고 다음달 세 차례 재판이 열린다. 유가족은 재판부 허락을 얻어 법정에서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검찰은 아리셀을 군납비리에 따른 업무방해죄로 추가 기소할 것으로 전해졌다. 추가 기소하면 구속기간도 늘어날 전망이다. 중대재해 조사 과정에서 아리셀은 군납용 전지 시료를 바꿔치기하고 불량품을 납품한 사실이 드러났다.
아리셀쪽은 재판에서 중대재해 책임이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표는 아리셀 대표직만 유지했을 뿐 실무는 아들인 박중언 총괄본부장에게 일임했다는 것이다. 아리셀쪽도 폭발 화재는 알 수 없는 이유로 발생했다며 공소 이유를 대부분 부인했다. 유가족은 “160일 넘게 진상규명을 위해 싸우는 피해 유가족의 가슴에 대못을 박았다”고 비판했다.
아리셀 참사는 6월24일 경기도 화성시 전곡산업단지에 위치한 일차전지 제조업체인 아리셀의 공장에서 전지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발생한 화재다. 노동자 23명이 사망하고 8명이 다친 사고다. 사망자 가운데 18명은 이주노동자로, 아리셀은 이들과 제대로 된 근로계약도 체결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에 대한 안전교육이나 조치도 소홀해 화재 당시 참사를 피하지 못했다. 특히 아리셀은 분리해 적재해야 하는 전지를 한데 모아 놓고 비상구 앞에도 화물을 쌓아 노동자들의 대피를 방해했다. 정규직에게는 지급한 ID카드를 이주노동자와 비정규직에게는 지급하지 않아 피해를 키웠다. 특히 참사 전에도 화재 사고 등이 있었지만 별다른 안전조치를 하지 않았다. 군납비리가 드러난 뒤 밀린 물량을 맞추려 무리하게 하루 1천개씩 전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참사를 사실상 야기했다. 수사 과정에서 이러한 사실들이 속속 드러나면서 검찰은 박 대표와 박 총괄본부장을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업무상 과실치사상,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파견법) 위반 등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