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기훈 기자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를 당론으로 정한 가운데 7일 국회 본회의 직전 진행되는 윤석열 정권 퇴진집회가 주목된다. 국민의힘에서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할 ‘반란표’가 나오려면 집회의 분위기와 규모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반헌법적”이라고 비판했던 한 대표는 지난 4일 저녁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함께 윤석열 대통령을 만난 뒤 입장이 바뀌어 “탄핵 반대”로 선을 그었다.탄핵을 낙관했던 분위기가 급변하면서 노동계와 시민사회단체는 긴장하고 있다. 자칫 탄핵이 불발되면 오히려 기사회생한 윤 대통령에 힘이 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탄핵안을 표결하는 7일 본회의에 앞선 집회가 분수령으로 떠오른다. 김준우 정의당 전 대표는 “한동훈 대표가 탄핵에 선을 그으면서 부결 가능성이 현재 조건에서는 높아 보인다”며 “다만 주말 집회를 비롯해 시민들의 참여에 따라 바뀔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노동계와 시민사회는 최대한 민심을 잡겠다는 방침이다. 민주노총은 4일부터 매일 오후 집회를 열고 퇴진 여론을 모으고 있다. 4일 집회에서는 5천명으로 시작한 결의대회가 용산 집무실 방면 행진 과정에서 2만명으로 늘어나는 양상도 보였다. 민주노총은 또 5일 오전부터 탄핵 저지로 당론을 정한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항의문자를 보내는 문자행동도 시작했다.

범야권 의석수는 192석으로 탄핵안 가결 정족수(200석)에 8석 모자란다. 지난 4일 새벽 한동훈 대표와 함께 국회에 진입해 비상계엄 해제에 표를 던진 이른바 친한계 의원 18명이 이탈한다면 가결하기에 충분하지만, 한 대표가 탄핵 저지를 선언한 마당에 이탈표를 기대하긴 쉽지 않다. 다만 주말 집회 등에서 대규모 시민이 모여 ‘민심’이 드러나면 여권 내 동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끝내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사과를 거부한 점 등이 방아쇠가 될 수 있다는 해석이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8표를 넘길 가능성도 열어놔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정세가 이렇다 보니 진보정당을 중심으로 민중총궐기 장소를 여의도로 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국회에 직접적인 민의를 전달하기 위해 국회 앞에서 모여야 한다는 의미다. 진보당 관계자는 “본대회가 아니더라도 시민들이 국회 앞에 모일 수 있는 조건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탄핵안이 부결되더라도 윤석열 대통령이 임기를 모두 채우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탄핵안 재발의도 가능성이 높다. 탄핵안 부결시 비상계엄에 대한 특검수사와 국정조사가 추진될 수도 있다.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계엄 선포 요건을 강화한 계엄법 개정안 처리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김준우 전 대표는 “또다시 비상계엄을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으므로 7일 본회의에서 김민석 의원의 계엄법 개정안을 함께 처리하기 위한 협의가 있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키워드

#계엄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