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노조가 5일 정오 서울역 광장에서 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정기훈 기자>

철도노조가 체불 성과급 지급과 인력감축 중단을 요구하며 5일 파업에 들어갔다.

노조는 지난 4일 밤 임금·단체교섭에서 코레일측과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첫 열차 운행 시각부터 파업에 돌입했다. 필수유지인력 1만348명을 제외한 1만3천명이 파업에 나섰다. 파업으로 고속철도와 화물열차 등 운행이 감소했다. 수도권 전철 운행률은 평시 대비 75%로, 고속철도는 65%로 나타났다.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운행률은 각각 58%, 62%다. 여객운송은 50%를 넘긴 수준을 유지했으나 화물열차는 22%로 크게 감소했다. 대체수송수단인 화물노동자들은 노조 파업을 지지하면서 대체수송 거부를 선언했다.

노조는 체불 성과급 231억원 지급을 비롯해 △임금인상 △외주화와 인력감축 중단 △4조2교대 개편 △공정한 승진제도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사는 차기 교섭 일정을 잡지 못한 상태다.

노조는 이날 정오 서울역 앞에서 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시민과 국회가 계엄을 막고 민주주의를 사수했듯이 위기의 철도노동자가 나서 철도를 구할 차례”라며 “파업은 철도노동자의 노동과 임금, 안전을 지키고 공공철도를 강화해 시민 안전을 지켜내는 투쟁”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우리 사회의 위기”라며 “역사 속 계엄령을 경험했고 특공대가 국회를 침탈하고 전선을 이탈한 무장헬기가 시민을 향하는 참담한 현실을 목격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우는 다르나 위기는 오늘날 철도의 현실”이라며 “노사합의로 정상화한 성과급은 기획재정부 압력 때문에 체불임금으로 둔갑했고 정부 기준 그대로 기본급 인상 역시 기재부 총인건비 지침에 발목이 잡혔다”고 지적했다.

특히 인력감축과 외주화 문제를 지적했다. 노조는 “정부는 인력 충원을 외면했고 외주화와 인력감축에 (코레일이) 열중하는 사이 30대 젊은 철도노동자 두 명이 산재로 사망했다”고 비판했다.

노조의 이번 파업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이후 첫 파업으로 주목받았다. 민주노총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이튿날 무기한 파업을 선언했다. 노조를 비롯해 서울교통공사노조와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를 비롯한 공공운수노조 공동파업 등이 예고돼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