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윤석열 대통령을 공화국의 적으로 규정하고 퇴진시까지 총파업한다.
민주노총은 4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일 밤 이후 윤석열은 민주공화국의 대통령 자격을 상실했다”며 “민주노총은 내란법 윤석열의 즉각 퇴진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양경수 위원장은 “헌법이 유린되고 민주주의가 파괴되는 급박한 상황에서 국회로 달려간 시민들이 맨몸으로 계엄군을 막고 온몸으로 봉쇄를 뚫어 다시 민주주의를 지켰다”며 “이제는 심판의 시간이다. 민주노총은 윤석열 정권 퇴진시까지 무기한 전면 총파업에 돌입해 생산을 멈춰 윤석열 정권 폭주를 막고 시민과 함께 행동에 나설 것이다”고 강조했다.
민주노총 조합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연 8시 이후 총파업을 시작한다. 수도권 조합원은 오전 9시 광화문광장에 집결하고, 각 지역에서는 지역본부가 정한 장소에서 시민과 연대하기로 했다.
민주노총 가맹 노조 가운데 공공운수노조는 이미 5일부터 공동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엄길용 노조 위원장은 “민생을 외면하고 국민 안전을 도외시하는 윤석열 정권을 향해 공공성을 확대하자고, 그리고 현장에서 더 이상 노동자가 죽고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노동권을 강화하기 위해 윤석열 퇴진 목표를 갖고 파업을 조직해 왔다”며 “어제와 오늘 상황으로 우리의 목표는 더 명확해졌다”고 말했다. 공공운수노조 산하 철도노조와 서울교통공사노조 등은 5일과 6일 잇따라 파업한다. 이밖에 여성노조·학교비정규직노조·교육공무직본부가 연대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도 6일부터 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다만 4일 새벽 총파업 관련 긴급 투쟁 방침이 내려진 터라 첫날인 이날 오전 참여율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16개 산별노조·연맹은 긴급중앙집행위원회 회의 등을 열고 파업 방법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