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공운수노조 공동파업을 두고 “경제와 일상생활을 볼모로 삼는 파업은 국민 공감과 지지를 얻기 힘들다”고 비난한 데 대해 노조가 “한심하다”고 되받았다.
노조는 28일 오전 고용노동부(장관 김문수)의 긴급 기관장 점검회의를 겨냥해 “장관이 노조의 파업 내용을 전혀 살펴보지 않고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는 점에서 한심하고, 파업 요구 등 본질은 외면한 채 ‘불안’ ‘불편’ 등 부정적 프레임을 씌우기에 급급하다는 점이 안타깝다”고 강조했다.
앞서 노동부는 이날 오전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실·국장과 8개 지방청 등 주요 지방관서장이 참석한 긴급 주요기관장 상황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날 김문수 장관은 “경제 여건이 녹록지 않고 국민의 삶이 어려운 가운데 물류를 책임지고 국민의 발이 되는 철도·지하철과 학교 급식, 아이 돌봄이 한꺼번에 멈추게 된다면 경제적 타격과 국민 불편은 자명하다”며 “노조가 아무리 합법적 권리행사라 주장할지라도 다른 국민에게 불편과 불안을 주는 행위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장관은 “범정부 합동으로 체계적으로 대응하겠다”며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노사를 불문하고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조는 파업 본질을 비껴난 변죽 울리기라고 비판했다. 노조는 “이번 파업은 경제와 일상생활을 볼모로 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국민의 생명·안전과 차별받지 않을 권리를 위한 파업”이라며 “사고가 나면 대규모 참사로 비화될 위험이 큰 궤도부문에서의 안전은 무엇보다 중요한데도 정부는 안전업무 외주화와 인력 축소 등으로 지속적으로 안전을 위협하고 있어, 정부가 보호하지 않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노조가 나서 지키고 있는 슬픈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또 여론조사 결과를 근거로 국민적 지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노조가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 1천250명 중 67.%가 ‘안전·요금 등 공공성이 중요하니 정부 주도로 철도를 운영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71.1%는 민간 지하철을 정부·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재공영화도 찬성했다. 지하철 안전인력 충원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82.7%로 나타났다. 노조는 “국민 대다수는 공공성과 노동권 확대에 손을 들고 있다”며 “김 장관은 국민 공감 운운하기 전에 정부 국정 지지율이 20%에 머물렀다는 점을 상기하라”고 꼬집었다.
한편 노조는 다음달 5~6일 철도·지하철·급식·돌봄 공동파업을 예고했다. 다만 지하철 9호선 노사는 합의점을 찾아 교섭을 이어가기로 하면서 이날로 예고했던 경고 파업을 철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