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의 윤석열 대통령 퇴진 촉구 시국선언 바람이 거세다. 고려대 교수 152명은 14일 오후 서울 성북구 고려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 대통령 퇴진과 특검 시행을 촉구했다.
이들은 시국선언문에서 “자신과 주변의 이익을 위해 권력을 사유화한 대통령에게 권한을 계속해서 행사하도록 해서는 결코 안 된다”며 “대통령 권한 정지와 퇴진에 따른 일시적인 혼란은 민주적인 제도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으나 더 이상의 국정농단은 우리 사회를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뜨릴 수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이유는 “차고도 넘친다”고 했다. 무엇보다 “권력을 사유화하고 국정을 농단했다”며 “현 대통령 부부는 대한민국 통치제도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삼권분립에 기초한 민주공화국 근간을 뒤흔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 정권은 뉴라이트 역사관으로 항일 독립운동의 역사를 지우고 굴욕적인 대일외교를 지속했다”며 “검찰을 동원해 반대 세력을 탄압하고 언론을 장악해 시민을 통제하려 하는 등 역사를 왜곡하고 민주주의를 훼손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2022년 이태원 참사, 2023년 채상병 사망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이뤄지지 못했고, 무책임한 의료대란까지 일으켰다”며 “이런 권력이 한반도의 위기를 고조시켜 전 국민을 위험에 빠뜨리는 일은 당장 막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끝으로 “지난 7일 대통령 기자회견은 이 정권이 나아질 가능성이 없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줬다”며 “이를 본 국민은 불의와 무지, 무능으로 가득한 현 권력이 더 이상 지속해서는 안 된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면서 윤 대통령 퇴진과 특검 시행을 촉구했다.
기자회견에 참여한 허은 고려대 교수(한국사학과)는 “문과대와 사범대를 비롯해 이공대·의과대·연구소·세종캠퍼스 교수들까지 동참해 시국선언문을 함께 기초했다”며 “지금은 각론적 정책 실수가 아니라 국가 존립 위기이며, 대한민국을 어디로 끌고 갈지 비전과 통솔력을 가지지 못한 권력은 물러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은 지난달 28일 가천대를 시작으로 지속하고 있다. 이날만 해도 고려대 이외 제주대·공주대 교수들도 시국선언으로 대통령 하야와 특검 수용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