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노동자들이 정부가 일자리를 잃고 임금삭감 요구까지 받는 건설산업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건설노동자 2명은 일자리와 임금보장을 요구하면서 지난 2일 국회 인근 광고탑에 올라 엿새째 고공농성 중이다.
건설노조(위원장 장옥기)는 진보당과 함께 7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건설업계는 건설노동자가 고용과 임금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노동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건설노동자 2명이 일당 2만원 삭감안 철회와 건설노동자 고용안정 입법을 요구하며 고공농성을 시작한 것은 최근 몇 년 사이 벌어진 건설노동자의 생존권 문제가 쌓이다 터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2일 노조 조합원 2명은 전국 5개 권역 철근콘크리트협의회가 노조와의 권역별 교섭에서 일괄적으로 목수 등 건설노동자 1인당 임금 2만원 삭감을 요구한 데 항의해 고공농성을 시작했다. 이들은 최근 건설산업 불황으로 건설노동자 취업자가 4개월째 하락 중인 점 등을 들어 국회에도 건설노동자 고용안정 입법을 아울러 촉구했다.
정부의 건설업 고용정책은 건설노동자에게 실망스러운 수준이다. 정부는 8월14일 범부처 일자리 대책을 내놓고 건설업 취업자수 하락에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주택공급을 확대해 건설현장 일자리를 뒷받침하고, 건설노동자 전직을 지원하는 방식이라 부실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건설업체가 요청한 특별고용업종 지원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부는 또 최근 공사비를 안정화해 건설현장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지만 인건비 인하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건설현장이 줄어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데 (정부는) 이주노동자 고용비율을 늘려 건설사 이윤만 늘리려 하고, 건설업계는 일당을 삭감하겠다고 한다”며 “일자리도 없고 임금마저 깎이는 생존 위기에 내몰렸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와 건설업계가 건설산업 미래를 걱정한다면 지금 당장 건설노동자 고용안정과 임금보장 등 노동환경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노동자의 노동환경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