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노동자들이 건설업체가 건설산업 위기를 틈타 임금 삭감을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건설노조 토목건축분과위원회는 21일 오전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문건설업계의 요구대로 임금을 삭감하면 그나마 있던 청년들은 안 그래도 불안한 고용 속에서 미련 없이 건설현장을 떠날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에 따르면 전문건설업계는 형틀목수 기능공 기준 임금을 최대 2만원 삭감하는 요구안을 제시했다. 건설 노사는 지난 5월17일부터 호남제주권 교섭을 시작으로 권역별 철근콘크리트연합회와 올해 임금 협상을 진행 중이다. 노조는 수도권과 대전·세종·충청권, 대구·경북권 교섭에서 5천원 인상안을, 호남·제주권과 부산·울산·경남권 교섭에서 1만원 인상을 요구했다. 호남·제주권과 부산·울산·경남권 형틀목수 기능공 임금이 수도권 등보다 5천원 낮아 차등요구했다.
그러나 사용자쪽은 수도권과 대전·세종·충청권, 대구·경북권 교섭에서 2만원 삭감안을, 부산·울산·경남권 교섭에서 1만원 삭감안을 내밀었다. 호남·제주권도 삭감을 요구했지만 정확한 금액은 제시하지 않았다.
이날 노조는 “전문건설업계의 최대 2만원 임금 삭감안은 건설노동자가 노조를 통해 임금 인상을 비롯해 노동환경을 바꿔 온 것을 수년 전으로 되돌리는 것”이라며 “지난해부터 정부와 건설업계가 노조를 탄압하며 벌인 건설현장 노동환경 후퇴의 연장선”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이런 사용자쪽 태도가 정부의 정책과 맞물려 건설업에서 노동자 이탈을 부추길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석열 정부는 최근 건설업 일자리 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취업자수 급감에 대응하기 위해 타업종으로 전직을 지원하고 생계비 300만원을 대출해 주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고용이 불안하니 안정된 고용대책을 마련하라는 요구에 다른 산업으로 전직을 도와주겠다는 것은 건설노동자를 몰아내는 것”이라며 “(이와 함께) 전문건설업계 요구대로 임금 2만원이 삭감되면 (건설노동자가) 건설현장을 떠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