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병·의원 개원의 중심단체인 대한의사협회가 18일 집단 휴업에 돌입한다. 환자단체는 강한 유감을 밝혔다.

의협은 9일 오후 용산구 이촌동 의협회관에서 전국의사대표자회의에서 실시한 집단휴업 찬반투표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18일 전면 휴업으로 전국 의사 회원 14만명은 물론 의대생과 학부모, 전 국민이 참여하는 총궐기 대회를 개최할 것”이라며 “정부는 전공의·의대생에 용서를 구하라”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 전 의료계가 하나 된 뜻으로 투쟁을 전개해 의료농단, 교육농단을 막아 내고 의료 정상화를 이루도록 힘을 모아 달라”고 강조했다.

의협은 지난 4~7일 실시한 회원 설문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11만1천861명 중 7만800여명이 참여(투표율 63.3%)한 가운데 6만4천여명(90.6%)이 “정부의 의료농단, 교육농단을 저지하기 위한 의협의 강경한 투쟁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6월 중 집단휴업 등 단체행동 참여 의사를 묻는 질문에도 5만2천여명(73.5%)이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의사 집단휴업을 바라보는 의사를 제외한 의료계와 시민들 눈초리는 싸늘하다. 간호사를 비롯한 병원 내 노동자들은 올해 2월 전공의 집단 진료거부 이후 현재까지 전공의 업무를 사실상 대행하고 있고, 줄어든 병상 가동률에 따른 경영위기로 무급휴가와 희망퇴직을 강요받고 있다. 보건의료노조 관계자는 “정부의 의료개혁 추진에 반대한다면서도 대안을 내놓지 않고 위세를 보이려는 형식의 집단행동”이라고 비판했다. 명분 없는 행위라는 것이다. 노조가 지난달 28~29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시민 85.6%는 “의사는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답했다.

당장 치료가 시급한 환자들도 분노를 터뜨렸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의협 집단휴업 발표 직후 낸 입장문에서 “국민건강은 내팽개치고 집단이익만 추구하는 극단적 이기주의”라며 “의사가 환자를 저버린 패륜을 비난하기보다 생명이 경각에 달린 환자 곁으로 돌아올 것을 그간 호소하고 간청했으나 의사단체는 환자 절규를 외면하고 집단 이기주의 힘자랑만 되풀이하다 끝내 국민을 적으로 돌리는 불법 총파업(집단휴업)을 선언했다”고 비판했다.

정부는 의협 휴진 발표에 유감을 표명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기자회견에서 “일부 의료계 인사와 단체가 국민 생명을 담보로 추가적인 불법 집단행동을 거론해 유감”이라며 “비상의료체계에 부담일 뿐 아니라 사회에 깊은 상흔을 남길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속한 현장복귀도 촉구했다. 한 총리는 “정부는 집단휴업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의료계를 설득하고 의료공백 최소화에 전력을 쏟겠다”며 “복귀 전공의에 대한 어떤 불이익도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