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하역노동자들이 CJ그룹에 물량 강탈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CJ그룹의 물량 이전으로 인천내항부두운영(IPOC)㈜이 고사 위기라고 경고했다.
공공운수노조 공항항만운송본부 IPCO지부는 22일 오전 서울 중구 CJ제일제당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CJ자본의 물량 강탈은 내항 물동량을 악화시켜 IPOC 노동자 생존권을 위협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IPCO는 2018년 CJ대한통운을 비롯한 10개사(현재 9개사)가 주주로 참여해 설립한 부두운영사 통합법인이다. 인천항만공사와 해양수산부의 부두운영 효율화 정책 일환으로, 인천북항 개항 뒤 물동량이 감소한 내항 부두운영사를 하나로 모아 출혈경쟁을 줄이고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목적에서 설립했다. IPOC는 출범 당시 북항 부두운영사와 화물유치 경쟁금지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 효력은 지난해 6월로 종료했다.
이로 인해 부두운영사 간 출혈경쟁이 불붙으면서 항만노동자 고용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만약 IPOC가 문을 닫는다면 약 200명 넘는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게 된다.
실제로 CJ대한통운은 4월부터 CJ제일제당의 원당(설탕 원료) 물량 일부를 북항으로 이전하겠다고 지난 2월 밝힌 상태다. 권미현 지부 조직국장은 “아직 실제 이전이 이뤄진 것은 아니지만 IPOC와 CJ제일제당의 원당 하역·운송계약이 끝나는 7월31일 이후 진행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지부는 합리적인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지부는 “CJ제일제당 원당 물량을 북항으로 옮기면 운송거리가 현재의 10배 이상 늘어나 운송비가 더 든다”며 “이런 비효율적 계획을 추진하는 것은 CJ자본의 물량 몰아주기 작업이자 장기적으로 IPOC의 경영난을 야기하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내항 물량의 북항 이전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동원로엑스는 이미 물량을 북항으로 이전했다. 물량 이전이 계속되면 결국 내항 부두운영사인 IPOC의 경영이 악화해 구조조정이 불가피해진다. 권 조직국장은 “CJ대한통운은 부두운용사임에도 주주로 IPOC에 참여하고 있어 고의로 물량 강탈계획을 추진해 IPOC 경영을 악화시켜 고사시키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지부는 2월 이후 IPOC 설립을 추진한 인천항만공사와 해양수산부와 면담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정부는 민간기업의 일이라며 개입을 꺼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