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의과대학 교수들이 의대 정원 증원 재검토를 내걸고 ‘한목소리’를 강조했다. 최근 의사단체 내부의 잡음을 봉합하려는 노력으로 보인다. 대화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정부·국회·의사단체 어느 한 곳도 먼저 나서지 않는 모양새다.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는 17일 8차 성명을 내고 “정부는 근거 없는 의대 2천명 증원으로 야기된 현 의료 위기 상황에 대해 어떤 책임 있는 자세도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의료계의 단일안은 처음부터 변함없이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였다”고 강조했다. 4·10 총선 전인 8일 정부가 “의료계의 단일안이 제시되면 증원 숫자를 조정할 수 있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정부의 제안 이후 의료계는 내분에 휩싸였다. 특히 의협 신임 회장에 당선된 임현택 당선자가 “의대 정원을 줄여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한 사실이 알려지고, 의협이 김택우 의협 비상대책위원장의 용퇴까지 요구하면서 내홍이 격화됐다. 김택우 의협 비상대책위원장은 공개적으로 직을 지키겠다고 반발하기도 했다. 이랬던 두 사람은 최근 14일 비대위 브리핑에 나란히 배석하고 포옹하는 등 갈등 봉합을 연출했다. 이날 김 비대위원장은 “의대 증원 원점 재논의가 단일안”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의사단체가 단일한 목소리를 강조할수록 고립은 강화되는 모양새다. 경실련과의 언쟁이 대표적이다. 경실련은 의사단체 일각에서 총선 결과와 관련해 “의대 정원 증원을 국민이 심판했다”고 평가한 사실이 알려지자 “특권을 지키려다 의료대란을 만든 당사자의 적반하장·후안무치·유아독존적 사고”라고 맹렬히 비판했다.

남은 건 전공의다. 이들은 개원의 중심 의협이 아닌 대한전공의협의회를 주축으로 메시지를 통일했다. 최근엔 다른 목소리가 감지된다. 대전성모병원 전공의를 사직한 류옥하다씨는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전공의 절반은 복귀 생각이 있다”고 밝혔다.

정작 정부는 손을 놓고 있다. 각계가 요구한 대화체 구성도 묵살한 채 지난 9일부터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도 열지 않고 있다.

국회도 개입을 꺼린다. 총선 패배로 정국 주도권을 놓친 국민의힘은 차기 지도부 수립이 시급하다. 압승을 거둔 더불어민주당도 상대적으로 조용하다. 한편 더불어민주연합은 4자 협의체를 강조했다. 김윤 더불어민주연합 당선자는 “정부와 의사단체가 모두 대화를 거부하면 그 피해는 더욱 확산할 것이고 대화 거부에 따른 책임도 더욱 무겁게 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