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의 내년 4월 총선방침인 ‘노동중심의 진보대연합정당’안이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다양한 이견에 부딪혔다. 민주노총은 집행부안으로 다음달 24일 임시대의원대회에 상정하기로 했다. 치열한 찬반토론이 예상된다.
20일 <매일노동뉴스> 취재 결과 지난 16일 오후 열린 민주노총 중집회의에서는 진보대연합정당 구성을 둘러싸고 격론이 벌어졌다. 진보대연합정당안은 기존 진보정당 4곳을 유지하면서 새롭게 노동중심의 진보대연합정당을 창당해 함께 선거를 치르는 방식이다. 총선용 연합정당을 만드는 것으로, 각 당이 해산 후 진보정당으로 헤쳐모이는 방식과는 다르다. 이양수 민주노총 정치위원장은 “현재 진보세력의 다양성을 고려하면서 총선은 단결한 가운데 치러야 한다”며 “민주노총이 중심이 돼 민주노조운동과 진보정당의 전망을 제시하는 게 뼈대”라고 설명했다.
민주노총의 정치세력화 시도는 기존에도 있었다. 배타적 지지를 했던 민주노동당·통합진보당이 분열한 이후에도 노동정치를 구체화할 노동중심 정당 요구는 끊이지 않았다. 선거철마다 일부 지역에서 후보 간 연대가 있었지만 장기적 연대를 구축하는 데는 실패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진보대연합정당안은 후보 간 연대를 넘어 실체를 가진 정당을 조직해 총선 이후에도 지속적인 정치세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민주노총은 기대하고 있다.
우려도 크다. 우선 실제 참여대상인 진보정당의 호응이다. 독자적으로 원내 진입에 성공한 정의당의 참여가 관건이다. 진보정당 간 묵은 갈등도 해소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진보정당에 실질적인 이익을 보장하고, 정당들도 민주노동당과 통합진보당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지난한 갈등을 해소하는 데 협력하지 않으면 ‘연합정당’은 실현이 어렵다.
또 다른 우려는 민주노총이 내부분열에 휩싸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각각 진보 4당 당적을 다르게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실질적인 정부여당 견제세력인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인식도 각양각색이다. 자칫 진보대연합정당안 논의를 시작하는 것 자체가 ‘판도라의 상자’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16일 민주노총 중집회의에서도 다양한 이견이 나와 중집안은 도출하지 못하고 집행부안으로 임시대대에 상정하는 것으로 봉합했다.
민주노총은 ‘과정의 신뢰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양수 정치위원장은 “연합정당을 구축하고 성과를 공유하면서 과정의 신뢰를 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