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 노총 공공·금융노동자들이 정부의 공공기관 구조조정 정책이 사회 공공성을 파괴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이들은 공공기관 구조조정 정책 철회를 촉구했다.
양대 노총 공공부문노조 공동대책위원회는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후문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이같이 강조했다. 같은 시각 기획재정부는 18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고 1만2천여명 규모의 공공기관 인력 구조조정안을 의결했다.
노동자들은 정부가 불합리한 구조조정을 추진한다고 비판했다. 김동수 금융노조 수석부위원장은 “경제위기 상황에서 국민을 지키는 것은 공공기관에서 종사하는 공공노동자”라며 “노동자가 하는 역할을 축소하고 인원을 감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공공성을 지켜야 할 정부가 공공성을 저버린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류기섭 공공연맹 위원장은 “금융과 의료·공공의 모든 서비스가 국민을 위한 것이고, 그런 서비스를 하는 게 공공기관과 공공노동자”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복지를 책임져야 할 정부가 책임을 망각한 것은 아닌지 우리가 똑똑히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해철 공공노련 위원장은 “공공기관 350곳이 자율 제출한 인력감축안이 1만명에 미치지 못하니 막가파식으로 기관 특성을 무시하고 감축인원을 늘린다고 한다”며 “얼마 전에는 공공기관 자산 14조5천억원 매각안을 졸속으로 의결하는 등 막가파식 공공기관 운영이 자행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양대 노총 공공노동자들이 연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원석 보건의료노조 수석부위원장은 “공공노동자는 사태가 발생하면 처음에 투입되고 사태 종료 뒤 마지막에 나오는 사명감을 갖고 일하는데 (정부는) 그렇게 대우한 적이 있느냐”며 “언제나 정권의 입맛대로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지렛대로 이용돼 왔고 구조조정과 민영화, 인력감축으로 내몰았다”고 비판했다.
강철 공공운수노조 공공기관사업본부장은 “국민의 자산을 팔고 국민이 보편적으로 누려야 할 서비스를 민영화하는 정권, 노동자를 적으로 돌리는 정권의 말로가 뭔지 공공노동자가 투쟁해 보여주자”며 “공공노동자의 노동조건과 임금을 지키고 공공성을 강화해 시민이 안전하게 살 수 있도록 투쟁하자”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