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2031년까지 서울 직업계고 반도체 전문인력 4천50명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조 교육감은 30일 오전 종로구 서울시교육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반도체 산업 규모 확대에 따른 반도체 산업현장의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학교·산업체·대학과의 협력체제를 구축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최근 반도체산업이 확대됨에 따라 고졸 반도체 전문인력도 2021년 기준 4만4천여명에서 10년 뒤인 2031년에는 7만8천명으로 3만4천명이 추가로 필요해진다. 하지만 2020년 기준 전국의 직업계고에서는 1천300여명의 반도체 신규 인력만 배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조 교육감은 “반도체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거점학교를 지정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반도체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역량을 기르기 위한 학과 개편을 지원하겠다”며 “반도체 거점학교를 중심으로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협력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제시했다.

이와 함께 최근 젊은 공무원들의 공직 이탈과 관련해 지난 24일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총회에서 “저경력 공무원 공직 정착을 위한 임금 인상 및 수당 신설”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공무원 임금인상시 직급별로 인상률을 차등하되 하위직급으로 갈수록 인상률이 높아지게 하는 ‘하후상박’을 채택하고, 4년 미만 공무원에게 월 10만~20만원을 지급하는 ‘공직 적응수당’을 신설하는 ‘지방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개정을 주장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