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정권교체 뒤 재생에너지 설비 목표를 낮추고 기간도 늘린 것으로 드러났다.
녹색연합은 9일 심상정 정의당 의원의 올해 국정감사 서면질의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녹색연합은 “지난해 2050 탄소중립 견인차 역할을 하겠다던 공사가 그 역할을 아예 포기한 모양새”라고 비판했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와 공사는 지난해 3월 교통 분야 2050 탄소중립 견인차 역할을 한다며 2030년까지 철도 분야 태양광 발전 규모를 456메가와트(MW)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는 철도 에너지 자립을 위해 필요한 수치다.
그러나 현재까지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 설비용량은 공사 5.8메가와트, 국가철도공단 29.7메가와트에 불과했다. 공사의 지난해 전력소비량 2천932기가와트시(GWh)로, 공공기관 중 1위다.
그러나 국감 결과 공사는 2030년 목표치를 153메가와트로 하향하고, 2050년까지 456메가와트 설비를 갖추는 것으로 목표를 수정했다. 녹색연합은 “탄소중립과 에너지 자립을 위해서는 2030년 456메가와트 설비 도달 목표를 앞당기고 공격적인 사업 추진이 필요한데도 공사는 기존 미흡한 재생에너지 목표마저 후퇴시켰다”고 비판했다.
공사뿐이 아니다. 한국도로공사도 2025년까지 243메가와트 설비를 설치하겠다고 계획을 수립했으나 올해 상반기까지 설치된 용량은 절반 수준인 116메가와트에 불과했다. 녹색연합은 “한국도로공사에 2025년 목표 상향 필요성과 계획을 질의했으나 도로 유휴부지를 활용하겠다는 새 정부 에너지 정책방향 발표에도 2025년 목표 수정을 검토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고 전했다.
녹색연합은 “전국 고속도로와 철도 유휴부지 중 방음벽과 중앙분리대, 성토비탈면을 활용해 태양광을 설치하면 최대 5천110메가와트 태양광 설치가 가능하다”며 “이는 서울 시민이 사용하는 주택용 전력 최대 45%를 생산할 수 있는 양임에도 한국철도공사와 한국도로공사가 에너지 자립을 넘어 탄소중립을 위한 국가 목표에 부응하지 않는 것은 대단히 아쉽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