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직 차별해소를 요구해 온 국가보훈처 공무직이 사흘 일정으로 전면파업을 시작했다..
국가보훈처노조는 22일 오후 세종시 국가보훈처 앞에서 파업 출정식을 열고 22일부터 24일까지 처우개선을 촉구하는 파업을 한다고 밝혔다. 약 1천여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조는 “국가보훈처는 약속한 정액교통비 지급과 부당차별 철폐, 노동자 처우개선에 응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노조는 정액교통비와 근속수당 증액 약속을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노조에 따르면 노조와 국가보훈처는 2018년 정액교통비·근속수당 증액에 합의했다. 그러나 4년째 증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노조는 또 “지난해 임금협상에서 합의한 방문 가사노동자의 이동비 증액분도 지급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가보훈처 산하 호국원(묘지)은 대부분 대중교통이 잘 닿지 않는 외곽에 있어 출퇴근이 어렵다. 노조는 “호국원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매달 평균 28만원 상당의 유류비를 자비로 지출하고 있고, 국가유공자를 찾아가 돌보는 보훈섬김이도 자차로 이동하는 비율이 80%에 달해 이동비 부담이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2018년과 지난해 임금협약을 체결하면서 거듭 교통비 문제 해결방안에 합의했지만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한진미 위원장은 “지난해 12월 쟁의행위를 앞두고 국가보훈처가 노조 요구를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혀 쟁의행위를 연기했다”며 “7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바뀐 것은 없이 이미 체결한 협약도 지키지 않고 아무런 권한도 없는 사용자쪽 교섭위원이 교섭에 참여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국가보훈처를 신뢰할 수 있느냐”고 비판했다.
결의대회에 참여한 류기섭 공공연맹 위원장은 “국가보훈처에 정당한 노동자의 요구를 무시하면 안 된다고 수 차례 경고했다”며 “이번 쟁의행위의 책임은 국가보훈처에 있다”고 강조했다. 공공연맹은 노조 상급단체다.
노조는 지난해 10월1일부터 올해 임금교섭을 사용자쪽과 시작했다. 차별 없는 가족수당 지급과 교통비 지원, 월 기본급 7%포인트 인상 등이 뼈대다. 지난달 23일까지 4차례 교섭을 했지만 진전이 없어 결렬을 선언했고, 중앙노동위원회 쟁의조정도 합의를 이끌지 못했다. 노조는 지난 5일과 6일에도 이틀간 부분 파업을 진행하고 현충일 행사가 열리는 현충원 입구에서 피켓시위를 벌였다.


소급 적용해라
약속을 지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