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에 이어 기아도 인증중고차 사업계획을 발표하며 중고차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출고된 지 5년, 주행거리 10만킬로미터 이내 자사 브랜드 차량 중 자체 품질검사를 통해 검증된 차량을 판매하되 시장점유율을 제한하겠다는 내용으로 현대차가 발표했던 사업방향과 비슷하다.
기아는 18일 “제조사 기술력을 활용한 고품질 인증중고차를 공급하고 EV 중고차 수요증가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신차 구입시 할인을 제공하고, 고객 차량 매입에 나선다. 자사가 직접 판매하지 않더라도 일단 매입 후 기존 업계에 되판다는 계획도 같다.
중고차 시장 내 전기차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품질검사 및 인증체계 개발, 중고 전기차의 객관적인 가치 산정 기준 마련과 중고차 구독서비스 개발로 현대차와 차별점을 뒀다. 중고차 구독서비스란 일정기간 중고차를 대여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중고차 구매와 연계한 결합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최대 한 달 동안 중고차량을 이용한 뒤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중고차매매업계와 상생을 위해 시장점유율은 자체적으로 2022년 1.9%, 2023년 2.6%, 2024년 3.7%로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완성차 제조사의 경쟁력을 이용해 중고차시장을 잠식할 것이라는 우려는 계속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고차업계가 사업조정을 신청해 한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전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현대차·기아와 자율조정을 하고 있지만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4차례 진행된 조정에서 중고차업계쪽은 기존 업계도 인증중고차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완성차 제조사의 시장진입 시기를 3년 후로 늦출 것과 매집 제한을 요구하고 있다.
㈔전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관계자는 “자율조정으로 안 되면 중소기업사업조정심의회를 열어 조정을 다시 진행할 것 같다”며 “다만 조정안을 현대차·기아가 수용하지 않아도 과태료만 물면 장사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자체 시장점유율 제한에 대한 불신도 계속되고 있다. 현대차·기아가 밝힌 시장점유율의 모수는 중고차 사업자가 개인에게 판매하는 매매(사업자거래대수, 약 117만대)뿐 아니라 개인 간 중고차 거래와 상속·증여 등 기타 거래를 포함한 중고차 총거래대수(약 250만대)에 사업자거래대수를 더해 평균을 낸 값으로 185만대 수준이다. 중고차사업자거래대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보다 모수가 커 판매 가능량이 늘어난다.
김지호 서비스일반노조 중고차딜러지회장은 “전부 말장난”이라며 “실질적으로 중고차업체가 120만대 정도를 매입해 판매하는데, 개인직거래 차량도 포함해 숫자(모수)를 180여만대로 부풀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지회장은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중고차 시장의 매출액이 크다는 이유로 소상공인이 아니고 생계업종에 지정하지 않는다고 했지만 중고차 업계에서 일하는 6만5천명이 연 소득은 3천300만원 정도”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