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둘러싼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쪽과 서울시의 엇박자가 현실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은행이 위치한 서울 여의도 일대는 국가가 정한 금융중심지다. 여의도는 금융중심지 조성과 발전에 관한 법률(금융중심지법)에 따라 부산 문현과 함께 2009년 금융중심지로 선정됐다.
이후 서울시도 금융중심지로 발전하기 위한 각종 조례나 제도를 정비해 왔다.
이런 기조는 지난해 4월 당선한 오세훈 서울시장도 마찬가지다. 오 시장 취임 이후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아시아 금융중심도시, 서울’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여의도를 국제금융지수(GFCI) 종합순위 5위권에 진입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계획을 마련할 당시 순위는 종합 13위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서울투자청을 지난달 7일 출범하고 31일에는 금융감독원과 함께 첫 투자설명회도 열 계획이다. 대상은 싱가포르·홍콩 금융기관이다.
그런데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이런 정책에 사실상 찬물을 끼얹고 있다. 최근 인수위는 관계부처에 산업은행 이전을 위한 계획 마련을 검토해 달라고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윤 당선자도 대선후보 시절 지속해서 산업은행을 비롯한 은행들의 지방 이전을 강조했고 당선 이후인 24일에도 “빈말이 아니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산업은행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을 이전하면 관련한 투자자문사나 자산운용사, 회계·법무법인들이 따라서 이전할 것으로 보는 것 같다”며 “시장에서 멀어진 산업은행의 영업이익 감소가 우려될 뿐 아니라 산업은행 외에도 여의도에 다른 금융기관이 많아 회계·법무법인의 추가 이전은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히려 다수의 금융기관과 연계해 새로운 먹을거리로 부상하는 핀테크산업 추진에 걸림돌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서울시는 국내 금융회사 973곳 중 861곳이 몰려 있을 뿐 아니라 핀테크기업 637곳 가운데 465곳이 집중된 지역이기도 하다. 이들의 교류를 강화해야 할 판에 새 정부가 오히려 은행 규모를 줄이는 계획이 세우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이처럼 대통령직 인수위와 서울시의 기존 정책 간 충돌이 뚜렷한데도 오 시장을 비롯한 서울시는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일각에서는 6월1일 지방선거 때문에 오 시장이 말을 아끼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마저 나온다. 서울시 해당 부서 관계자는 “언급하기 어려운 대목”이라며 말을 아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