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노조가 에디슨모터스의 자금력과 기술력을 신뢰할 수 없다며 인수 반대 의견서를 23일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했다. 상거래채권단이 법원에 인수자 교체를 요구한 데 이어 노조까지 반대하면서 인수 무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원래 계획대로면 관계인집회가 다음달 1일 열린다. 관계인집회에서 회생채권자 3분의 2 동의를 얻어야 법원이 회생계획안을 인가할 수 있는데, 현재 상태로는 어렵다. 에디슨모터스쪽은 법원에 관계인집회를 5월 중으로 연기할 것을 요청한 상태다.
“인수·운영자금조달 계획은 ‘허구’”
이날 <매일노동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의견서 제출은 법원의 요청으로 진행됐다. 노조·쌍용차·에디슨모터스는 지난 3일부터 15일까지 4차례에 걸쳐 3자 특별협의를 진행했고 지난 21일 노조는 특별협의 내용을 토대로 대의원 간담회를 진행해 인수 반대로 의견을 모았다. 노조는 “운영자금 마련을 위한 자금 조달계획과 쌍용자동차 미래발전 전망과 관련한 전기차 사업전환은 전혀 신뢰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긴 ‘인수인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에 대한 노동조합 의견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에디슨모터스는 인수자금 2천744억원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디슨모터스는 당초 3월18일까지 에디슨모터스·에디슨EV·KCGI(강성부펀드)·유앤아이 등으로 컨소시엄을 확정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 강성부펀드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생긴 것은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노조는 “인수대금 마련을 위한 컨소시엄 확정조차 차질을 빚고 있는 점을 봤을 때 인수자금과 운영자금 조달계획은 허구에 불과하다는 판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에디슨모터스의 미래비전에 의구심이 짙어지는 상황이다. 노조는 “전기차 관련 기술력도 신뢰할 수 없다”며 “상용차(버스·트럭)와 관련된 전기차 기술은 확보돼 있으나 승용 SUV에 적용할 전기차 기술개발은 이제 시작단계”라고 꼬집었다. 에디슨모터스는 2022년까지 전기차 10종, 2030년까지 전기차 30종을 선보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에디슨모터스는 21일 입금하기로 한 운영자금 200억원을 운영자금 집행 결과 통보와 사전집행계획 제출 등을 요구하면서 지급하지 않고 있다. 사용처도 디자인 개선 등으로 한정하려 하고 있다. 노조는 “운영자금 용도는 기업 활동에 필요한 자재비·인건비로, 대여금을 운영자금으로 명심했음에도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며 “쌍용차 인수 후 회사를 정상화하겠다는 의지가 있는지 진정성을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에디슨모터스가 운영자금을 미지급하면서 쌍용차는 정상적인 임금지급이 불가능한 상태다.
“쌍용차 살리려면 정부 나서야”
노조는 상거래채권단과 함께할 뜻을 밝혔다. 상거래채권 확보를 위해 쌍용차 협력사 344곳이 모인 상거래채권단은 지난 21일 법원에 새로운 인수자를 찾아 인수합병을 진행하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 법원이 상거래채권단의 반대에도 회생계획을 강제 인가하면 납품을 거부하겠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노조는 “일부 협력사 납품거부가 현실화되면 쌍용자동차는 회복 불능의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며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이 상거래채권단을 설득하지 못할 경우 쌍용자동차노동조합은 협력사들과 의견을 같이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노조쪽은 “인수대금은 어떻게든 조달해 법원이 관계인집회를 붙일 수 있겠지만, 그렇게 해서 인가가 돼도 변제해야 할 공익채권이 4천300억원”이라며 “거기에 운영자금은 추가 조달해야 하는데, 과연 조달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에디슨모터스는 4월1일 예정된 관계인집회를 5월 중순으로 연기할 것을 요청한 상태다.
익명을 요구한 노동계 관계자는 “인수자금 3천억원도 이렇게 삐걱거리면 이후는 보나 마나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상장폐지지만 상장폐지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다”며 “살리려면 정부가 나설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