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쌍용자동차

쌍용자동차와 에디슨모터스가 11일 3천48억원 규모의 인수합병(M&A) 본계약을 체결한다.

쌍용자동차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10일 서울회생법원은 쌍용차와 에디슨모터스쪽이 신청한 투자계약 허가를 승인했다. 최초 본계약 체결 시한은 지난달 27일이었지만 에디슨모터스가 쌍용차에 지급하는 운영자금 500억원의 사용 방식과 쌍용차의 기술자료 공유에 관한 의견차로 한 차례 연기됐다.

쌍용차는 “인수기획단 파견 시점은 회생계획안 인가 시점 이후로 하고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측에서 사전 승인을 요구했던 대여 운영자금 사용에 대해서는 사전 협의하는 것으로 조율됐다”고 밝혔다. 전기차·내연기관차의 상품 경쟁력 향상을 위해 양사 엔지니어 간 협력을 강화하는 업무협약도 체결한다.

본계약을 체결하면 에디슨모터스는 인수금액 3천48억원의 10%인 이행보증금 305억원 납부한다. 하지만 이후에도 넘어야 할 산은 많다. 3월1일까지 쌍용차 회생계획안을 법원에 제출해야 한다. 이후에 납부할 인수자금 잔액은 2천743억이다.

최근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에서 키스톤PE가 빠지면서 사모펀드 KCGI와 에디슨모터스가 남은 인수대금을 마련해야 한다.

쌍용차·에디슨모터스의 M&A 진척에도 노동계는 ‘먹튀’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는 “의혹 커지는 에디슨모터스에 쌍용차 운명을 맡길 수 있냐”며 “공장부지 이전을 안 한다고 했다가 산업은행이 대출에 난색을 표하니 부동산 개발건을 꺼내고, 미래 발전전망도 불투명하고 자금조달 능력도 의심스러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득중 쌍용차지부장은 “이미 두 차례에 걸쳐 졸속 매각을 경험했고, 그 피해가 고스란히 현장 노동자들에게 전가됐다”며 “졸속매각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오민규 노동자운동 연구공동체 ‘뿌리’ 연구위원은 “에디슨모터스가 만든 차량은 전기버스고, 최근 인수한 에디슨EV(세미시스코)는 초소형 전기차를 생산한다”며 “쌍용차의 주력인 중대형 SUV 플랫폼과 호환이 불가능한 데다, 그 정도 기술력도 없다”고 주장했다. 오 연구위원은 “인수자금 3천여억원을 구한다 해도 운영자금 7천억~8천억원을 어디서 끌어올 것인지 의문”이라며 최종 유찰 가능성을 높게 봤다.

에디슨모터스쪽은 쌍용차 운영자금 7천억~8천억원을 마련하려 쌍용차 평택공장 부지를 담보로 산업은행 대출을 받으려고 했으나, 산업은행은 난색을 표했다. 최근에는 에디슨EV의 주가가 쌍용차 인수에 따른 기대감에 상승했지만, 뒤에 대주주인 투자조합이 주식을 매도해 논란이 있었다. 한국거래소는 에디슨EV 대주주의 주식 처분과 관련해 불공정거래 행위가 있었는지 조사 중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