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임원에 방위사업청 출신 인사가 내정돼 논란이다. 금융노조는 “부적격자에 대한 낙하산 인사 전횡을 중지하라”고 촉구했다.

5일 노조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공석인 캠코 금융본부장(상임이사)에 국방부 산하 방위사업청 부이사관 A씨를 내정했다. A씨는 방위사업청 무인기사업팀장과 국방부 방위사업개선팀 파견, 방위사업청 기획조정관·무인사업부장 등을 거쳤다. 노조는 “누구나 이 사람이 금융부실을 해결할 공공기관 적임자라고 보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A씨가 내정된 금융본부장은 개인의 부실채권 정리를 담당하는 요직이다. 노조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에 따른 비상경제 시국으로 국민 개인의 삶와 국가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이라며 “금융부실 해결 전담 금융공공기관인 캠코의 중요성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데 이런 자리에 국방부 인사를 앉히는 것은 누가 봐도 어불성설”이라고 꼬집었다.

게다가 전임 금융본부장은 지난해 2월27일 임기가 만료됐다. 정부가 10개월이나 늦게 인사를 하면서 전문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력을 가진 A씨를 내정한 것이다. 캠코는 현재 사장도 공석이다. 노조는 “정부는 사장이 없는 틈을 타서 부적절한 날치기 인사를 감행하고 있다”며 “이런 함량미달 인사는 전체 공공·금융노동자뿐 아니라 국민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캠코의 낙하산 인사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상임감사 5명을 선임한 2020년에는 업무와 무관한 인사를 감사로 선임해 갈등을 빚었다. 당시 캠코지부는 “낙하산은 채용비리”라며 청와대와 정부청사 등에서 1인 시위를 했지만 정부는 임명을 강행했다. 낙하산 논란은 공공기관에 국한하지 않았다. 지난해 10월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 조사에 따르면 2017~2020년 시중은행·보험사·저축은행·증권사·카드사 164곳으로 자리를 옮긴 경제관료는 250명이었다. 이는 박근혜정부 당시 199명보다 늘어난 규모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노조와 정책협약을 맺고 낙하산 인사 근절 등을 합의한 바 있다.

노조는 “대한민국 공공기관에 대한 인사행정 민낯을 보며 비참함을 넘어 통탄하고 있다”며 “정부가 이번 낙하산 인사를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